삼성화재 "최근 3년간 주요 대학캠퍼스 내 교통사고 발생 60% 급증"

[서울경제TV=김도하 기자] 최근 3년간 주요 대학캠퍼스 내 교통사고가 60%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화재 교통안전연구소는 7일 '대학캠퍼스 교통사고 위험요인 분석결과'를 공개했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삼성화재에 접수된 국내 주요 17개 대학 캠퍼스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교내 도로 등에서 359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127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
연구소는 서울소재 주요 대학 10곳과 지방거점 국립대 7곳을 대상으로 캠퍼스 내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분석했다.
코로나19 엔데믹으로 교육부의 전면등교 지침이 발효된 2021년 이후 2023년까지 이들 대학 캠퍼스에서 3년간 교통사고가 359건 발생했고, 127명이 다쳤다.
사고 건수는 2021년 92건에서 2023년 147건으로 59.8% 늘었고, 부상자 수도 같은 기간 37명에서 56명으로 51.4% 증가했다.
학교별 교통사고가 가장 자주 발생한 학교는 서울대였다.
사고 건수가 126건, 부상자는 47건으로 전체 17개 캠퍼스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캠퍼스 면적당 발생 건수로 환산하더라도 10만㎡당 사고 건수가 8.21건으로 연세대(1.15건)나 고려대(1.37건)에 비해 6∼7배 많았다.
사고 발생 운전자 연령은 20대가 17.3%에 불과하고, 30대 이상의 운전자가 약 80%로 나타나 재학생이 아닌 직원이나 외부 방문객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소는 경사로가 많은 대학캠퍼스 입지와 다양한 교통류 혼재가 발생하는 교통이용 특성, 대학캠퍼스가 '도로외 구역'으로 분류돼 안전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던 점을 주요 교통사고 증가 요인으로 분석했다.
캠퍼스 내 도로는 대부분 산비탈 경사에 위치해 도로 선형이 불량하고, 직각이 아닌 기형 교차로가 많다.
또 버스와 택시, 배달 오토바이, 전동킥보드, 도보 등 다양한 교통수단이 혼재돼 있는 실정이다.
캠퍼스 내 도로는 사유지에 해당해 도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공적인 관리 절차도 없다.
연구소는 오는 17일부터 새로운 교통안전법이 시행되면서 대학캠퍼스 안전관리자의 교통안전 의무가 강화됨에 따라 대학별 캠퍼스 환경에 맞는 교통안전 시설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임채홍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교통안전법 개정에 따라 대학 캠퍼스 도로도 법적인 테두리에 들어오게 된다"며 "대학도 학교별 특성에 맞는 개선대책을 수립해 학생들이 안심하고 다닐 수 있는 캠퍼스 교통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스피어, SpaceX와 특수합금 장기 공급 계약…美 관세 무관 전망"
- NH투자증권, 유입 자금과 IMA 사업 수익에 시차…목표가↓-한투
- "채권보다 주식"…증시 랠리에 EB 교환 급증
- 국책은행 인사태풍 예고…낙하산 인사 경계감 커져
- NH농협금융, 상반기 순익 1조6287억…전년比 6.6% 감소
- 삼성화재-삼성서울병원, '제 1회 암환자 삶의 질 연구소 심포지엄' 개최
- KB손보, 설계사 AI 화법 코칭 솔루션 도입
- 농협, 집중호우 피해 지원 50억원 규모 성금 전달
- iM라이프, 모바일 고객창구 개편 기념 고객 이벤트 진행
- BNK금융 상반기 순익 4758억원…전년比 3.4% 감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영천시, 산업단지 환경조성사업 통합 패키지 공모 선정
- 2"스피어, SpaceX와 특수합금 장기 공급 계약…美 관세 무관 전망"
- 3포항시, ‘CKC 2025’ 참가...이차전지 글로벌 네트워크 캐나다로 뻗는다
- 4포항시, 소비쿠폰으로 지역상권 붐업..소비촉진 활동 이어가
- 5LG U+, 5G 결합한 소상공인 전용 ‘AI전화팩’ 출시
- 6영천시의회, KTX-이음 체험...지역경제 접목에 의정활동 펼쳐
- 7경주시, ‘청년 新골든 창업특구 조성사업 시즌4’ 참여자 공개모집
- 8한국수력원자력, 공기업 최초 ‘전문 코치 양성기관’ 지위 획득하다
- 9대구광역시, 대구시 지역 경기 살릴 4번 타자 ‘대구로페이’가 나선다
- 10안동시, ‘2025 월영야행’ 개최…조선과 현대 넘나드는 한여름 밤 축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