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저트 성지된 편의점…두바이 초콜릿 이어 ‘스모어’
편의점업계, 북미·유럽 인기 초콜릿 '스모어' 선봬
앞선 ‘두바이 초콜릿’ 3달만 매출 130억원 돌파
요리 경연 프로그램 인기…디저트 신제품 기대

[앵커]
생활필수품 판매에 머물렀던 편의점이 트렌디한 간식들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습니다. 얼마 전 인기를 끌었던 두바이 초콜릿에 이어 SNS에서 유행하는 또 다른 초콜릿이 등장한 건데요. 이제는 편의점이 ‘디저트 성지’로 자리 잡는 모습입니다. 이혜연 기자입니다.
[기자]
편의점 업계가 소비자 유행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두바이 초콜릿에 이어 이번에는 북미와 유럽에서 인기 있는 초콜릿을 국내에 선보인 겁니다.
주요 편의점들은 최근 SNS에서 주목받고 있는 스모어 초콜릿을 오프라인 매장에 내놨습니다.
스모어는 마시멜로와 초콜릿을 통밀 크래커 사이에 넣어 만든 부드럽고 바삭한 식감의 간식으로, 영어 ‘Some more’에서 유래했습니다.
GS25는 오는 7일부터 스모어 초콜릿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합니다.
이 제품은 지난달 24일 어플리케이션 ‘우리동네GS’에서 온라인 사전 예약으로 1,300개 이상의 판매 성과를 냈습니다.
이외에도 국내 유명 틱톡커가 일명 ‘스웨덴 캔디’로 소개해 유행을 탄 스웨디시 젤리도 10월 중 한정 수량으로 판매할 예정입니다.
CU는 스모어를 케이크로 새롭게 만든 프리미엄 디저트 ‘초코 마시멜로우 팡’을 출시합니다.
스모어를 재해석한 상품을 선보임으로써 신선한 경험을 추구하는 MZ고객을 겨냥한다는 전략입니다.
지난 7월 CU가 한국식으로 재해석한 두바이 초콜릿 출시한 데 이어 두바이식 초코쿠키를 추가로 선보이며, 3달여 만에 합계 매출 130억원, 누적 판매량 340만개를 돌파한 바 있습니다.
[싱크] 업계 관계자
“최근 디토(Ditto) 소비 트렌드에 따라서 SNS 인기 높은 상품에 대해서 고객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었습니다. 원조 브랜드 상품의 품질 좋은 상품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서 고객들의 트렌드에 호응할 수 있는 상품을…”
이외에도 OTT 요리 경연 프로그램의 인기에 힘입어 편의점 관련 디저트 신제품이 나올지 기대되는 상황.
한 출연자가 편의점 제품을 활용해 디저트 ‘밤 티라미수’를 만들어 화제를 모았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편의점이 단순한 생필품 판매 공간을 넘어 ‘디저트 성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혜연입니다. /hy2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9·7 부동산대책] 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 [9·7 부동산대책] 2030년까지 수도권 135만호 착공…“LH 직접 개발로 속도 낸다”
- 농식품부, 계란값 우려에 산란계 '사육 면적 확대' 최대 2년 늦춰
- 쿠팡 "입점 소상공인, 중소기업으로 성장한 업체 1만개 넘어"
- LG, '에이머스 해커톤' 대회 개최…상위 3개팀에 입사 시 혜택
- 대한항공, '보잉777-300ER 항공기' 이코노미석 배열 개조 철회
- 스타벅스, '하반기 바리스타 공개 채용'…14일까지 접수
- LPG협회-르노코리아, 'LPDi 하이브리드차' 양산 개발 위한 MOU 체결
- LG엔솔 인사책임자, 美구금 현장 대응 위해 출국…"조기 석방이 최우선"
- 카카오, AI 네이티브 비전 공개…"AI는 기능 아닌 운영체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5년 앞으로 다가온 오사카 카지노, 강원랜드의 생존 전략은?
- 2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3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4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5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6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7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8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9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10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