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별 AI 검색 핫토픽은?"…뤼튼, '컨슈머 AI' 유저 리포트 발간
경제·산업
입력 2024-10-31 09:31:16
수정 2024-10-31 09:31:16
이지영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컨슈머 AI 서비스 플랫폼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이달 말 기준 뤼튼 MAU(월간 활성 이용자) 500만 명을 돌파했다.
뤼튼은 지난해 1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1년 10개월만에 MAU 500만 명을 넘겼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뤼튼은 그동안 축적된 리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사 서비스 사용자들의 이용 패턴을 분석한 '뤼튼 유저 리포트'를 공개했다.
이 리포트는 지난해 초부터 현재까지 뤼튼 사용자들이 AI와 함께 무엇에 대해, 어떻게, 얼마나 대화했는지 등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지금까지 뤼튼에서 사용자가 AI와 주고받은 총 누적 대화 수는 6억 8,544만 회에 달하며, AI 검색 핫토픽의 경우 10대는 '공부', '진로', '친구' 등으로 나타났고, 40대는 '영어', '가족', '주식'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생성한 AI 이미지 소재는 '사람, '반려 동물', '로고'로 파악됐다. 선호하는 AI 이미지 그림체로는 '일러스트', '애니메이션', '웹툰', '신비한', '실사' 등이 꼽혔다. 사용자 직업별로 대학생의 주요 AI 대화 관심사는 과학·기술(30%), 영화·예능·드라마(27%), 뉴스·이슈(24%) 등이었고, 직장인은 쇼핑·소비(33%), 맛집·음식(30%), 기업·산업(30%) 등이었다.
AI와 존댓말 대화 빈도 분석에서 고연령층일수록 AI를 인격체로 여기고 존댓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I 대화에서 60대 이상은 5번의 발화 중 약 1번 꼴(19.67%)로 존댓말을 사용한 반면, 20대는 약 5%, 10대는 약 3% 안팎의 낮은 빈도로 존댓말을 사용했다.
뤼튼 상위 10%(이용 시간 기준) 사용자들의 경우, AI '캐릭터 챗'을 월 평균 1343분 이용하는 것으로 드러나 카카오톡(688분, 24년 6월 모바일인덱스 조사)보다 두 배나 긴 이용 시간을 보였다. 이들의 'AI 검색' 이용 시간 역시 월 평균 386분에 달해 네이버(484분, 24년 5월 모바일인덱스 조사)의 80% 수준까지 육박했다.
이세영 뤼튼테크놀로지스 대표는 "그간 축적된 방대한 이용 패턴 데이터에 바탕해, 앞으로도 대중이 필요로 하는 모든 컨슈머 AI 서비스들을 누구보다 빠르게 고품질로 무료 무제한 제공해 나가겠다"며 "500만 명을 넘어 내년도 MAU 1000만 명을 목표로 한층 공격적인 서비스 확장으로 대한민국 AI 대중화를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한-계란 없다"…배달의민족, 계란 프라이데이 팝업
- 현대건설, ‘가덕도 신공항’ 손 뗀다…“장기표류 가능성”
- “1시간 배송”…이마트·올리브영 ‘퀵커머스’ 승부수
- 네이버 1분기 실적 ‘방긋’…쇼핑앱 효과 ‘톡톡’
- 금호석유화학, 1분기 깜짝 실적…“2분기엔 관세 여파”
- 쎌바이오텍, 1분기 영업이익 14억원… 전년 대비 27.1% 증가
- 씨젠,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29% 증가… 흑자 전환 성공
- 미시간 주립대, 서울서 글로벌 동문회 개최…“지식·가치 연결하는 플랫폼”
- 종근당, 기억력 감퇴 개선제 '브레이닝캡슐' 캠페인 런칭
- 롯데에머티, 1분기 영업손 460억원…적자전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