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 '판로 확대·성장'에 기여"
경제·산업
입력 2024-11-04 15:14:10
수정 2024-11-04 15:14:10
이지영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기업중앙회 비전룸에서 '제3차 중기공공조달 정책연구회'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회는 예산절감 및 관리중심으로 추진되어온 공공조달 정책과 관련해 개선이 필요한 분야의 아젠다를 발굴하고 전문가 논의를 통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지난해 8월 학계, 연구계를 중심으로 발족했다.
연구회에서는 중소기업의 공공조달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지원정책인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에 대한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제도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김민창 강릉원주대학교 교수는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 운영현황 및 제도개선 방안'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호주 등 해외 선진국에서도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조달정책을 시행 중이며,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는 근본적으로 경쟁을 유도하는 제도로써 중소 기업들이 혁신하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최수정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의 규제로써의 접근에 대한 부적절성' 주제발표를 통해 "공공조달의 경제적 영향력을 활용해 지속가능하고 포용적인 성장을 지원해야 하며,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는 시장지향적 목표·규제적 목표·사회경제적 목표를 충분히 달성하고 있고 정책목적 및 편익이 참여제한으로 인한 비용보다 더 크므로 규제로써 인식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이어진 논의에서는 제도의 필요성과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김은하 중소기업협동조합연구소 연구위원은 "중소기업들이 공공조달시장에 꾸준히 진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의 역할"이라며 "매출액 대비 경쟁제품을 납품하는 비중이 높은 중소기업일수록 매출액 성장률이 다른 중소기업보다 높아 제도의 지원효과가 뚜렷하다"고 말했다.
다른 전문가들도 중소기업간 경쟁을 통한 산업발전 도모가 궁극적인 목적으로써 중소제조기반을 유지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고, 공공조달 진출의 마중물 역할의 더욱 충실히 하기 위해서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은 확대 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중소기업자간 경쟁제도는 중소기업들에게 최소한의 조달시장 진출 기회를 부여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성장과 관련 산업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로 우리나라 중소제조기반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정부에서는 제도의 취지와 역할을 다시 한번 되새겨 적극적으로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을 지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G CNS, 美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뉴욕·호건스빌과 계약
- 볼보 EX90, 월드 카 어워즈서 ‘월드 럭셔리 카’ 수상
- LH-삼성전자, 임대주택 스마트홈 서비스 저변 확대
- 파이어버스터, ‘스키핑 현상’ 해결로 화재 안전 패러다임 주도
- 제이시스메디칼, ‘임카스 아메리카 2025’서 덴서티·리니어지 소개
- 伊·韓 화장품 산업 교류의 장 '뷰티 데이즈' 성료
- 미나글로벌, 차세대 안티에이징 브랜드 ‘디그램’ 선봬
- 금감원, 한화에어로 유상증자에 정정신고서 제출 재요구
- CJ CGV, ‘CGV고덕강일’ 17일 신규 오픈
- 기아, ‘2025 뉴욕 국제 오토쇼’ 참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