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리 난 ‘녹색’ 음료…韓 말차 산업 문 열리나

경제·산업 입력 2025-08-15 08:00:03 수정 2025-08-15 08:00:03 이채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SNS 속 말차 인증샷, 국내 시장 뜨거워져
日 텐차 가격 급등…원재료 공급 '비상등'
공급난 현실화땐 韓 녹차 농가에 기회 전망

할리우드 스타 두아리파와 블랙핑크 제니가 말차라떼를 먹는 모습이다. [사진=두아리파·제니 SNS]



[서울경제TV=이채우 인턴기자] 할리우드 배우 젠데이아, 헤일리 비버가 거리에서 말차 라떼를 들고 있는 모습이 SNS에 자주 포착되면서 말차는 곧 ‘셀럽 인증샷 아이템’으로 부상했다. 그리고 인플루언서를 통해 소개된 제품과 서비스를 찾는 ‘디토소비’(Ditto+소비) 현상은 곧 국내로 이어져 말차 열풍이 불고 있다. 특히 급증하는 글로벌 수요 속 말차 공급을 일본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가운데,  공급 구조가 불안정해지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고품질 원료 생산이 국내에서도 가능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에 전문가들은 한국 말차 산업에 새로운 기회의 문이 열리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 SNS 속 말차 인증샷, 국내 시장 달구다

16일 데이터엠인텔리전스에 따르면, 글로벌 말차 시장 규모는 2024년 36억5000만 달러 (한화 약 4조7450억 원)에 이르렀고, 2032년에는 78억3550만 달러 (한화 약 10조1862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보고서는 2024년부터 2032년까지 말차 시장 연평균 성장률이 10.2%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브랜드들은 앞다퉈 말차 관련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투썸플레이스가 지난 달 21일 출시한 ‘투썸 말차’ 음료 3종은 2주 만에 50만잔 넘게 팔려 나갔다. 뿐만 아니라 지난 3월 봄 시즌 대표 메뉴 ‘슈크림 라떼’를 변형한 ‘슈크림 말차 라떼’를 선보인 스타벅스 또한 해당 제품을 출시 2주만에 200만 잔 넘게 판매하며 큰 성공을 거뒀다. 롯데웰푸드·빙그레는 기존의 월드콘, 쿠앤크 등 스테디셀러 아이스크림에 말차 맛을 더하며 제품군을 확장하며 속도전에 불이 붙고 있다. 


글로벌 말차 시장 규모 그래프 [사진=데이터엠인텔리전스]


▲ 2032년에는 78억 달러…말차, 업계 '신흥 강자' 되다

말차는 녹차 수확 전 햇빛을 차단해 재배한 어린잎을 찐 뒤 말려 곱게 간 것으로, 잎을 우린 물만 마시는 녹차와 다르게 잎을 통째로 섭취한다. 말차는 항산화 성분인 카테킨이 풍부하고 커피보다 카페인 함유량도 낮아 최근 웰니스·비건 소비층의 ‘건강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웰니스·비건·헬시플레저 트렌드는 한국 소비자현장과 산업계 모두에서 이미 기본 프레임으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트렌드가 지속되는 한 말차 수요 감소 가능성 역시 낮을 거라는 것. 

뉴욕의 한 식품 소매업계 관계자는 “‘말차 맛’은 이제 식품 시장에서 ‘딸기 맛’, ‘초콜릿 맛’ 처럼 하나의 카테고리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며, “과거에도 일부 제품이 ‘말차 맛’ 또는 ‘그린티 맛’으로 출시됐지만, 최근 말차 열풍으로 많은 식품업체들이 경쟁적으로 말차 함유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日 텐차 가격 급등…말차 공급 '비상등'

하지만,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말차 열풍이 부는 가운데 말차 공급은 불안정한 상황이다. 말차의 원료가 되는 ‘텐차’는 일본이 주요 생산국이다. 그러나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2025년 4~5월 텐차 경매 가격은 kg당 8235엔으로 전년 대비 70% 이상 올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일부 생산업체는 "1일 1개 품목" 등 판매 제한을 걸고 있다. 유명 마차 생산업체인 마루큐 코야마엔 역시 이미 7월부터 가격 인상을 발표하며, 마차 제품의 가격이 50~60% 인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말차 공급 부족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일본 텐차 생산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교토 지역은 지난해 폭염으로 큰 피해를 입어 올 4~5월 수확량이 대폭 줄었다. 또한, 말차는 생산 과정의 독특하고 계절적인 특성으로 인해 본질적으로 희소한 상품이다. 글로벌 수요가 갑자기 급증하면서 분쇄 시설이 이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실제 아마존 사이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의 '슈퍼말차'와 '오설록'의 말차 가루 [사진=아마존]


▲ 계속되는 말차 공급난…韓 녹차 농가에 기회 될까

이처럼 공급망 불안이 커지면서 대체·보완 공급원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은 한국의 녹차 농가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국내에서도 고품질 녹차를 차광 재배하고 가공 기술을 확보한다면, 일본산에 집중된 글로벌 말차 공급망의 대안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 

특히 한국 제주산 녹차만의 차별화된 맛과 품질을 강조하면, 미국을 비롯한 해외 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이미 미국 시장에서는 국산 녹차로 만든 말차 제품들이 다수 판매되고 있어, 한국산 말차의 잠재력이 입증되고 있다. 실제로 아마존, 이베이 등에서는 메이크 라테 제로슈가, 슈퍼 마차, 오설록 등 다양한 한국산 말차 파우더가 판매 중이다.  

KOTRA의 한 관계자는 “글로벌 말차 시장의 공급 불안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상황은 한국의 녹차 농가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며 “국내에서도 고품질 녹차를 차광 재배하고 가공 기술을 확보한다면, 일본산에 집중된 글로벌 말차 공급망의 대안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dlcodn122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