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력시장 잠식...블룸버그 "3~5년내 은행 일자리 20만개 사라질 것"
금융·증권
입력 2025-01-10 14:55:12
수정 2025-01-10 14:55:12
김수윤 기자
0개
백 오피스 등 반복 작업 직군 위험
수익 개선 면에선 긍정적으로 바라봐

[서울경제TV=김수윤 인턴기자] 인공지능의 발달로 전 세계 은행들이 향후 3~5년 안에 최대 20만개의 일자리를 축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지시간 9일 발표된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조사에 참여한 전 세계 은행의 최고 정보·기술 책임자들은 평균적으로 인력의 3%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 93명 가운데 약 4분의 1은 5~10% 감축 가능성을 전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토마시 노에첼 BI 선임 분석가는 "(고객을 직접 상대하지 않는) 백 오피스와 미들 오피스, 운영 부문이 가장 큰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작업이 포함된 모든 직업은 위험에 처해 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AI가 직업들을 완전히 없애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AI 업무 활용은 수익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BI에 따르면 오는 2027년에는 AI로 생산성이 높아져 은행들의 세전 이익이 12~17% 증가해 순이익 합계가 최대 1,800억 달러(약 262조원)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조사 응답자 10명 중 8명은 생성형 AI가 향후 3~5년 안에 생산성과 수익 창출을 최소 5% 증가시킬 것이라고 응답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비용 절감 등을 위해 IT 시스템 현대화에 나섰던 은행들은 이제 생산성을 더 높이기 위해 차세대 AI로 눈을 돌리고 있다.
씨티그룹은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AI가 다른 어떤 분야보다 은행업에서 더 많은 일자리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은행업 일자리 가운데 약 54%가 자동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블룸버그는 "많은 기업들이 인간 역할의 대체보다 기술을 통한 변화를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CEO는 2023년 블룸버그 TV에 "AI가 일부 직책을 없애더라도 노동자의 삶의 질을 극적으로 개선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아울러, "기술 덕분에 여러분 자녀들은 100세까지 살면서 암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며 "아마 일주일에 3일 반 일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su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iM뱅크, 충청권 지역상생 보증재원 10억원 특별출연
- 신한銀·한국석유공사, 퇴직연금 담보설정 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 아우딘퓨쳐스, '네오젠' 타임스퀘어 광고·울타뷰티 입점 진행
- 우리銀,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 한켐, '초음속 발사체 추진제 원료 소재' 조기 생산 구축
- 손오공, '라부부' 열풍에 팝마트 로보샵 매출 증가
- 미래에셋, 고객자산 1000조 돌파
- 카카오페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결제 수단 확대…편의성 대폭 강화
- SK스퀘어, 적극적 주주 환원 긍정적…목표가↑-NH
- [부고] 오익근(대신증권 대표이사 사장)씨 모친상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중기중앙회, '참 괜찮은 강소기업' 서비스 개편
- 22025 아시아투척선수권대회, 목포서 역대급 기록 쏟아내며 마무리
- 3서울시-SBA, 중고등학생·장애인 e스포츠 대항전 '2025 서울컵' 개최
- 4우미건설, ‘K-디자인 어워드 2025’ 수상
- 5고흥군의회, 올해 공무 국외출장 예산 전액 반납
- 6서울창업센터 동작, 지원사업 공모 시작…기술창업 사업화 지원
- 7에어프레미아, 중대형견 입양센터 '브링미홈'서 유기견 봉사활동
- 8혼다코리아, 스몰 펀 모터사이클 ‘몽키125’ 고객 초청 이벤트 성료
- 9한전, ‘글로벌 스마트그리드 기술 경진대회’ 2관왕 수상
- 10NHN, 사내 봉사단 ‘리틀 스카우트’와 봉사활동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