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인력시장 잠식...블룸버그 "3~5년내 은행 일자리 20만개 사라질 것"
금융·증권
입력 2025-01-10 14:55:12
수정 2025-01-10 14:55:12
김수윤 기자
0개
백 오피스 등 반복 작업 직군 위험
수익 개선 면에선 긍정적으로 바라봐

[서울경제TV=김수윤 인턴기자] 인공지능의 발달로 전 세계 은행들이 향후 3~5년 안에 최대 20만개의 일자리를 축소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지시간 9일 발표된 블룸버그 인텔리전스(BI·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조사에 참여한 전 세계 은행의 최고 정보·기술 책임자들은 평균적으로 인력의 3%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 93명 가운데 약 4분의 1은 5~10% 감축 가능성을 전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토마시 노에첼 BI 선임 분석가는 "(고객을 직접 상대하지 않는) 백 오피스와 미들 오피스, 운영 부문이 가장 큰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작업이 포함된 모든 직업은 위험에 처해 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AI가 직업들을 완전히 없애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AI 업무 활용은 수익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BI에 따르면 오는 2027년에는 AI로 생산성이 높아져 은행들의 세전 이익이 12~17% 증가해 순이익 합계가 최대 1,800억 달러(약 262조원)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조사 응답자 10명 중 8명은 생성형 AI가 향후 3~5년 안에 생산성과 수익 창출을 최소 5% 증가시킬 것이라고 응답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비용 절감 등을 위해 IT 시스템 현대화에 나섰던 은행들은 이제 생산성을 더 높이기 위해 차세대 AI로 눈을 돌리고 있다.
씨티그룹은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AI가 다른 어떤 분야보다 은행업에서 더 많은 일자리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은행업 일자리 가운데 약 54%가 자동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블룸버그는 "많은 기업들이 인간 역할의 대체보다 기술을 통한 변화를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CEO는 2023년 블룸버그 TV에 "AI가 일부 직책을 없애더라도 노동자의 삶의 질을 극적으로 개선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아울러, "기술 덕분에 여러분 자녀들은 100세까지 살면서 암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며 "아마 일주일에 3일 반 일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su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팔란티어 꿈꾸는 AI 유망주…주가 '불기둥'
- [단독] 비씨카드, 사명에 KT 붙인다…B2B 위기감 반영?
- 환율 변동성에도 '밸류업' 지속…금융지주 자사주 줄매입
- "옷깃만 스쳐도 관련주?"…대선판 달아오르자 정치테마주 '들썩'
- 코스피 2480선서 보합권 출발…코스닥도 소폭 하락
- 비에이치아이, 지난해 사상 최대 수주 실적…지속성 높여나갈 것-iM
- "최악은 지났다" 관세리스크 공포 극복 중인 코스피
- 카드론으로 돈 버는 카드사들…수수료 인하 명암
- 좌초된 금융정책들 골든타임 놓치나…부동산PF·지분형모기지 어디로?
- 한주간 MMF 설정액 7.6조 늘었다…최근 한달 증가치보다 많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북자치도교육청, 고교생 대상 ‘학점 인정 학교 밖 주말 강좌’ 운영
- 2전북자치도교육청, 2025년 반부패 청렴정책 추진…“청렴문화 정착 총력”
- 3전북개발공사, ‘스마트 퇴근 알림톡’ 시행…복무 관리 효율화
- 4완주군, ESG 경제대상 사회분야 전국 1위
- 5완주군, 중소기업 위해 301억 원 융자지원
- 6무주군, 행안부 청년마을 조성사업 선정…‘산타지 마을’로 6억 확보
- 7전춘성 진안군수, 통합복지카드 직접 점검…“현장 불편 즉시 개선”
- 8"진안 모델 전국으로"…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계절근로 현장 점검
- 9전북자치도, ‘기후변화주간’ 운영…22일 도청 등 14개 청사 소등
- 10김관영 전북도지사, 국회서 추경예산 총력전…AI·축사매입 등 300억 요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