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아파트 분양가, 매매가 추월…"15년만 역전"

경제·산업 입력 2025-01-28 08:00:06 수정 2025-01-28 08:00:06 이지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전국 아파트 3.3㎡ 당 분양가 및 매매시세 추이. [사진=부동산R114]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지난해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 가격이 2009년 이후 15년 만에 평균 매매가를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의 평균 분양 가격이 3.3㎡당 2,063만 원, 평균 매매시세는 1,918만원으로 나타나 분양가격이 145만원 더 높았다.

전국 아파트 분양가가 매매가를 앞지른 것은 2009년 이후 15년 만이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4,820만원으로 매매가(4,300만 원)보다 520만 원 비쌌다.

서울은 2018년 이후 6년 만에 아파트 분양가가 시세를 추월했다.

소위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84㎡ 가격으로 환산하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분양가는 시세보다 5,000만 원,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시세 대비 1억7,000만 원 정도 높은 셈이다.

분양가가 이처럼 오른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금리 인상이 본격화한 데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조달 금리, 건자재 가격, 인건비 등이 상승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서울의 경우 2018년 분양가는 시세 대비 50만 원 정도 높았으나 분양가 규제가 심화했던 2019년 이후 분양가는 시세를 밑돌았다.

2020년 분양가는 시세보다 1,012만 원 저렴했다. 이어 2021년 1,455만 원, 2022년 643만 원, 2023년 504만 원 등으로 분양가가 시세보다 낮았다.

지역별로 지난해 분양가와 시세의 차이(분양가-시세)를 보면 제주도가 1,245만 원으로 가장 컸다.

울산(1,096만 원), 부산(954만 원), 광주(953만 원), 경북(858만 원) 등은 뒤를 이었다.

부동산R114는 앞으로도 분양가가 떨어질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택지조차 지난해 3월과 9월 기본형 건축비 정기 고시에서 각각 3.1%, 3.3% 인상에 나서는 등 매년 큰 폭으로 분양가가 인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최근 정치 혼란에 따른 환율 급등에 따라 수입 건축자재와 물류비 등도 상승 중인 만큼 민간택지에서의 분양가 상승 흐름은 계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지영 기자

easy@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