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고환율·고유가에 석달 연속 오름세
경제·산업
입력 2025-02-05 10:00:00
수정 2025-02-05 10:00:00
고원희 기자
0개
국제 유가·원달러 환율 상승이 주요인
석유류 7.3% 올라 전체 물가 0.27%p 끌어올려
[서울경제 TV=고원희 인턴기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달 연속 높아져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상승 흐름을 타고 있는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인이 됐다.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상승률은 지난해 7월(2.6%) 이후 반년 만에 가장 높다.
지난해 중순까지 2~3%대를 오갔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대(1.6%) 진입하고 10월에 1.3%까지 떨어졌다. 이후 방향을 바꿔서 11월 1.5%·12월 1.9%에 이어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석유류가 7.3% 올라 지난해 7월(8.4%) 이후 최고 상승률을 나타내면서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p) 끌어올렸다. 주로 국제유가와 환율의 상승 영향으로 풀이되는데, 여기에 1년 전 낮은 수준이던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외식제외 개인서비스 물가는 3.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68%p 올렸다. 2023년 12월(3.5%) 이후 1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실손보험료 등 보험서비스료가 오른 것이 주요 배경이다.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해외·국내 단체 여행, 콘도이용료 등도 상승했다.
가공식품류도 2.7% 상승해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p 높였다.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상승했다.
배추가 66.8% 뛰며 2022년 10월(72.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상악화에 따른 산지출하 물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무도 79.5% 올라 상승 폭이 컸다.
김은 35.4% 올라 1987년 11월(42%) 이후 무려 37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을 기록했다. 당근도 76.4%로 2017년 2월(103.7%)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다만 파(-32.0%), 감(-23.2%), 바나나(-13.8%) 등은 감소 폭이 컸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로 지난해 7월(3.0%) 이후 반년 만에 최대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역시 지난해 7월(2.1%) 이후 다시 2%대로 복귀했다.
'밥상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1월과 12월 환율 상승이 석유류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가공식품이나 기타 원자재에는 다소 시간을 두고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highlight@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그루브웍스, 스타원엔터테인먼트와 AI 캐릭터 서비스 협력 업무협약 체결
- 대한상의 “세계 R&D 투자축 美·中에 기울어…첨단기술 경쟁 대응 대책 마련 시급”
- 한국필립모리스, ‘아이코스 일루마 i’ 출시
- BMW 모토라드, GS 라인업·CE 04 특별 프로모션 진행
- 초역세권에 멀티생활권까지…‘둔산 해링턴 플레이스 리버파크’ 정주여건 관심
- 벤츠 코리아, 오송역 인근 ‘청주 오송 서비스센터’ 신규 오픈
- "스노보드 유망주 키운다"… 넥센타이어, 사회공헌 행사 진행
- "최대 500만원 할인"…현대자동차, 전기차 구매 혜택 강화
- GS건설, 2024년 영업익 2,862억원..흑자전환
- S-OIL 소속 사회복지사, ‘나는 기업 사회복지사다’ 발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그루브웍스, 스타원엔터테인먼트와 AI 캐릭터 서비스 협력 업무협약 체결
- 2영암콜버스 서비스 호평, 더 많이 타고 더 짧게 기다렸다
- 3광산구, 관내 5만 5,000여 사업체 실태 조사 나서
- 4담양군,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 지원사업’ 확대 추진
- 5함평군, 군민안전보험 보장 확대…생활 안전 지원 강화
- 6대한상의 “세계 R&D 투자축 美·中에 기울어…첨단기술 경쟁 대응 대책 마련 시급”
- 7광주시, 소상공인 특례보증 1700억으로 확대
- 8대구 중구, 전국 인구 순유입률 3년 연속 1위… 청년층 유입 활발
- 9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정보센터 나들이로 오세요"
- 10한국필립모리스, ‘아이코스 일루마 i’ 출시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