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고환율·고유가에 석달 연속 오름세
경제·산업
입력 2025-02-05 10:00:00
수정 2025-02-05 10:00:00
고원희 기자
0개
국제 유가·원달러 환율 상승이 주요인
석유류 7.3% 올라 전체 물가 0.27%p 끌어올려

[서울경제 TV=고원희 인턴기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달 연속 높아져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상승 흐름을 타고 있는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인이 됐다.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상승률은 지난해 7월(2.6%) 이후 반년 만에 가장 높다.
지난해 중순까지 2~3%대를 오갔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대(1.6%) 진입하고 10월에 1.3%까지 떨어졌다. 이후 방향을 바꿔서 11월 1.5%·12월 1.9%에 이어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석유류가 7.3% 올라 지난해 7월(8.4%) 이후 최고 상승률을 나타내면서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p) 끌어올렸다. 주로 국제유가와 환율의 상승 영향으로 풀이되는데, 여기에 1년 전 낮은 수준이던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외식제외 개인서비스 물가는 3.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68%p 올렸다. 2023년 12월(3.5%) 이후 1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실손보험료 등 보험서비스료가 오른 것이 주요 배경이다.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해외·국내 단체 여행, 콘도이용료 등도 상승했다.
가공식품류도 2.7% 상승해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p 높였다.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상승했다.
배추가 66.8% 뛰며 2022년 10월(72.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상악화에 따른 산지출하 물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무도 79.5% 올라 상승 폭이 컸다.
김은 35.4% 올라 1987년 11월(42%) 이후 무려 37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을 기록했다. 당근도 76.4%로 2017년 2월(103.7%)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다만 파(-32.0%), 감(-23.2%), 바나나(-13.8%) 등은 감소 폭이 컸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로 지난해 7월(3.0%) 이후 반년 만에 최대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역시 지난해 7월(2.1%) 이후 다시 2%대로 복귀했다.
'밥상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1월과 12월 환율 상승이 석유류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가공식품이나 기타 원자재에는 다소 시간을 두고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highlight@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7월 집중호우 피해액 1.8조 확정…복구비 2.7조 투입
- LG, '2024 ESG 보고서' 발간…"준법경영 고도화"
- 특검, 내일 김건희·김예성 동시 소환
- 한경협국제경영원, '2025 AI 비즈니스 과정' 개강…기술 넘어 전략으로
- LG 시스템에어컨, 플라스틱 사용 줄여 탄소 배출 줄인다
- 일요일 '낮 최고 35도' 전국 대부분 폭염특보
- '월세' 거래, 첫 100만건 돌파…'전세의 월세화' 가속
- LG유플러스, 방송중계·IPTV, ISO 22301 국제인증 획득
- 삼성전자, '아시아 공조 콘퍼런스'서 글로벌 HVAC 공략
- SK, 이천포럼 내일 개막…'본원적 경쟁력 강화' 모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시-성우하이텍·토스씨엑스, 457억 규모 투자양해각서 체결
- 2김보라 안성지장, 민선 7기 소통과 균형을 말하다
- 3포항시, 반려견과 함께 즐기는 ‘흥환 애견동반 해수욕장’ 첫 개장
- 4포항 중앙상가 영일만친구 야시장 화려한 개막, 원도심 상권 회복 신호탄
- 5경주시, APEC 앞두고 TF 운영 강화..“체감형 손님맞이 서비스 만든다”
- 6日 시민단체 "강기정 시장 영단에 진심으로 감사"
- 77월 집중호우 피해액 1.8조 확정…복구비 2.7조 투입
- 8LG, '2024 ESG 보고서' 발간…"준법경영 고도화"
- 9특검, 내일 김건희·김예성 동시 소환
- 10동서알미늄, 2년 연속 따뜻한 나눔 실천. . .북구 저소득층 위한 주방용품 900개 기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