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주총 ‘집중투표제’ 표결 시뮬레이션, 장씨 가문 지분율 ‘52%→20%대’ 추락
경제·산업
입력 2025-02-07 14:40:09
수정 2025-02-07 14:40:09
김효진 기자
0개
장씨 일가·계열사, 집중투표제 ‘50%대→20%대’ 지분 하락, 소액주주 결집 시 통과
장세준·장세환·영풍개발·씨케이 3% 초과분 의결권 제한, 소수주주 영향력은 대폭 확대
영풍정밀, 3월 영풍 정기주총 집중투표제 도입 제안…소액주주연대도 적극지지 관측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최근 영풍의 거버넌스를 지적하는 주주제안이 밀려들고 있다.
행동주의펀드인 머스트자산운용이 10년간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자사주 소각 실행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는 영풍을 비판하며 자사주 소각과 액면분할(혹은 무상증자)을 요구하고 나섰다. 머스트자산운용은 “영풍은 기업 거버넌스와 지배구조, 주주가치 개선에 대해 자본시장으로부터 여러 지적을 받아왔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주주권익 보호 전문가 등 사외이사 후보 3명을 주주제안으로 추천했다. 특히 자산총액 2조원이 넘는 상장사에 여성 이사가 한 명도 없다는 점을 비판하며 "여성인 지현영 변호사는 귀중한 후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주주인 영풍정밀은 오는 3월 열리는 영풍 주주총회에서 집중투표제 도입을 골자로 한 정관 변경 안건을 상정해달라고 요구했다.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의 분리 선출 안건도 제시했다. 영풍 경영진의 사업적 통제 능력 상실과 감시 기관의 독립성 훼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모든 주주의 이익을 제고할 수 있도록 소수주주 이익을 대변하는 후보자가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다.
특히 관심을 끄는 건 고려아연에서 도입한 집중투표제 안건의 통과여부이다.
집중투표제를 도입하려면 현재 영풍 정관에 규정된 집중투표제 배제 조항을 삭제해야 한다. 정관 변경은 주총 특별결의 사항인 만큼 출석주주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찬성이 필요하다.
상법 제542조의7 집중투표에 관한 특례 조항에 따라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3%를 초과하는 주식을 가진 주주는 초과분에 관해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따라서 영풍의 전체 발행주식 184만2,040주 가운데 3% 초과분, 자기주식 등 의결권이 제한되는 주식 등을 제외하면 의결권 있는 주식 수는 약 80만주로 추산된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집중투표제 통과 가능성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소유 지분율 3%까지만 의결권 행사가 가능한 ‘3%룰’을 적용하면 지배주주 장씨 가문과 그 계열사 지분율이 50%대에서 20%대로 낮아진다.
작년 12월 말 기준으로 장형진 고문의 장남 장세준 코리아써키트 부회장, 차남 장세환 영풍이앤이 부회장, 장녀 장혜선씨, 부인 김혜경 여사 등 장씨 일가를 비롯해 영풍개발, 씨케이, 에이치씨 등 계열사가 보유한 영풍 지분율은 52.65%(96만9,799주)다.
하지만 3%룰 기준으로 지분율을 환산하면 20%대 후반 수준까지 낮아진다. 장세준 부회장(16.89%), 영풍개발(15.53%), 장세환 부회장(11.83%), 씨케이(6.45%) 등의 지분율 3% 초과분에 대한 의결권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소액주주연대, 국내외 자산운용사 등에서 잇따라 영풍의 거버넌스 개선을 촉구하며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만큼 출석주주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하는 특별결의 요건의 의결권이 모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거버넌스 개선을 촉구해온 머스트자산운용과 집중투표제를 제안한 영풍정밀에 더해 소액주주연대도 지난해 말부터 영풍의 지배구조 개선을 촉구해 왔다.
지난달 주주행동 플랫폼 ‘액트’ 운용사 컨두잇은 영풍 소수주주를 대표해 강성두 사장을 수신인으로 하는 공개 주주서한을 발송했다. 당시 컨두잇은 영풍 주가가 부진한 원인으로 지속적인 환경·안전 사고, 주력사업 성과 부진, 주요 자산 처분의 불투명성, 주주환원 미흡 등을 지적하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원칙 확립과 구체적 실현 계획 수립 등의 해법 실천을 제안했다.
이처럼 상당수의 일반주주들이 영풍의 거버넌스 개선과 환경, 안전 사고, 나아가 사업부진을 질타하고 있는만큼 집중투표제에 적극 동조하면서 집중투표제 도입을 막으려는 영풍 측과 치열한 표싸움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hyojeanas@sedaily.com
행동주의펀드인 머스트자산운용이 10년간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자사주 소각 실행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는 영풍을 비판하며 자사주 소각과 액면분할(혹은 무상증자)을 요구하고 나섰다. 머스트자산운용은 “영풍은 기업 거버넌스와 지배구조, 주주가치 개선에 대해 자본시장으로부터 여러 지적을 받아왔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주주권익 보호 전문가 등 사외이사 후보 3명을 주주제안으로 추천했다. 특히 자산총액 2조원이 넘는 상장사에 여성 이사가 한 명도 없다는 점을 비판하며 "여성인 지현영 변호사는 귀중한 후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주주인 영풍정밀은 오는 3월 열리는 영풍 주주총회에서 집중투표제 도입을 골자로 한 정관 변경 안건을 상정해달라고 요구했다.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의 분리 선출 안건도 제시했다. 영풍 경영진의 사업적 통제 능력 상실과 감시 기관의 독립성 훼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모든 주주의 이익을 제고할 수 있도록 소수주주 이익을 대변하는 후보자가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다.
특히 관심을 끄는 건 고려아연에서 도입한 집중투표제 안건의 통과여부이다.
집중투표제를 도입하려면 현재 영풍 정관에 규정된 집중투표제 배제 조항을 삭제해야 한다. 정관 변경은 주총 특별결의 사항인 만큼 출석주주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찬성이 필요하다.
상법 제542조의7 집중투표에 관한 특례 조항에 따라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3%를 초과하는 주식을 가진 주주는 초과분에 관해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따라서 영풍의 전체 발행주식 184만2,040주 가운데 3% 초과분, 자기주식 등 의결권이 제한되는 주식 등을 제외하면 의결권 있는 주식 수는 약 80만주로 추산된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집중투표제 통과 가능성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소유 지분율 3%까지만 의결권 행사가 가능한 ‘3%룰’을 적용하면 지배주주 장씨 가문과 그 계열사 지분율이 50%대에서 20%대로 낮아진다.
작년 12월 말 기준으로 장형진 고문의 장남 장세준 코리아써키트 부회장, 차남 장세환 영풍이앤이 부회장, 장녀 장혜선씨, 부인 김혜경 여사 등 장씨 일가를 비롯해 영풍개발, 씨케이, 에이치씨 등 계열사가 보유한 영풍 지분율은 52.65%(96만9,799주)다.
하지만 3%룰 기준으로 지분율을 환산하면 20%대 후반 수준까지 낮아진다. 장세준 부회장(16.89%), 영풍개발(15.53%), 장세환 부회장(11.83%), 씨케이(6.45%) 등의 지분율 3% 초과분에 대한 의결권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소액주주연대, 국내외 자산운용사 등에서 잇따라 영풍의 거버넌스 개선을 촉구하며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만큼 출석주주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하는 특별결의 요건의 의결권이 모아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거버넌스 개선을 촉구해온 머스트자산운용과 집중투표제를 제안한 영풍정밀에 더해 소액주주연대도 지난해 말부터 영풍의 지배구조 개선을 촉구해 왔다.
지난달 주주행동 플랫폼 ‘액트’ 운용사 컨두잇은 영풍 소수주주를 대표해 강성두 사장을 수신인으로 하는 공개 주주서한을 발송했다. 당시 컨두잇은 영풍 주가가 부진한 원인으로 지속적인 환경·안전 사고, 주력사업 성과 부진, 주요 자산 처분의 불투명성, 주주환원 미흡 등을 지적하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원칙 확립과 구체적 실현 계획 수립 등의 해법 실천을 제안했다.
이처럼 상당수의 일반주주들이 영풍의 거버넌스 개선과 환경, 안전 사고, 나아가 사업부진을 질타하고 있는만큼 집중투표제에 적극 동조하면서 집중투표제 도입을 막으려는 영풍 측과 치열한 표싸움을 펼칠 것으로 전망된다. /hyojeana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CJ프레시웨이, 지난해 영업이익 940억…전년比 5.3%↓
- “여행길에도 건강” 신세계免, 인천공항에 ‘정관장 스튜디오’ 오픈
- 현대차그룹도 中 생성형 AI 딥시크 접속 차단…해외사업장도 곧 적용
- “초콜릿 제품에 딸기 더해”…오리온, 밸런타인 스페셜 패키지 선봬
- "무제한 인센티브"…마인즈그라운드, 파격 성과제도 실시
- "성능·효율 모두 잡았다"…BMW, 순수전기 SAV ‘뉴 iX’ 최초 공개
- '새학기 특수' 무신사, 1월 백팩 거래액 전월 대비 50% 껑충
- 마세라티 코리아, 그레칼레 구매 고객 대상 특별 프로모션 진행
- 소상공인연합회, 경제사회노동위원회와 정책 간담회
- 베스트텍, 강원지사 설립…강원특별자치도와 국방 MRO 협력 본격화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