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건전성 강화에 집중"... 中企 대출 문턱 더 높아진다
금융·증권
입력 2025-02-11 18:24:56
수정 2025-02-11 18:24:56
이연아 기자
0개
5대 은행 기업대출 잔액 825조 7228억원
대기업대출 17% 증가, 중기대출 5% 증가 그쳐
올해 1분기 중소기업 신용위험지수 39 전망
2022년 4분기 이후 최고치 신용위험지수 기록
올해 중소기업 대출 문턱 더 높아질 전망
[앵커]
은행이 경기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건전성 관리를 위해 기업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보다 신용위험이 커진 중소기업 대출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825조 7228억원입니다.
이 가운데 대기업대출 규모는 163조996억원, 중소기업 대출은 662조 6232억원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을 보면 대기업대출은 17%가 넘지만, 중소기업 대출은 5%에 불과합니다.
올해는 중소기업 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를 통해 올해 1분기 중소기업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를 39로 발표했습니다.
2022년 4분기 이후 최고치인데, 한은은 모든 업종 중소기업 신용위험이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조이기에 나서자, 은행권에서는 일제히 기업대출로 영업방향을 전환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9월부터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경고음이 울리기 시작했고, 10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국민 0.47%, 신한 0.42%, 하나 0.63%, 우리 0.49%, 농협 0.88%으로 한 달 만에 최대 0.12%p 상승했습니다.
급기야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전 분기 대비 13.1% 늘었지만,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20.9% 줄어드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를 두고 금융권 안팎에서는 중소기업 경영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금융권에서는 은행별 대출자산 수익성과 건전성 관리가 강화되고, 금융사의 밸류업 추진과 고환율 기조 등을 바탕으로 은행 내 자본비율 관리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신용위험이 높은 중소기업 대출 문턱이 더욱 올라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은이 지난달 16일 금융중개지원대출 한도를 기존 9조원에서 14조원으로 늘리며 중기 자금 수요 해결에 나섰지만, 연체액 대비 이자경감 규모 등을 두고 역부족이라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은행이 경기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건전성 관리를 위해 기업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보다 신용위험이 커진 중소기업 대출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825조 7228억원입니다.
이 가운데 대기업대출 규모는 163조996억원, 중소기업 대출은 662조 6232억원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을 보면 대기업대출은 17%가 넘지만, 중소기업 대출은 5%에 불과합니다.
올해는 중소기업 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를 통해 올해 1분기 중소기업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를 39로 발표했습니다.
2022년 4분기 이후 최고치인데, 한은은 모든 업종 중소기업 신용위험이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조이기에 나서자, 은행권에서는 일제히 기업대출로 영업방향을 전환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9월부터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경고음이 울리기 시작했고, 10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국민 0.47%, 신한 0.42%, 하나 0.63%, 우리 0.49%, 농협 0.88%으로 한 달 만에 최대 0.12%p 상승했습니다.
급기야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전 분기 대비 13.1% 늘었지만,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20.9% 줄어드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를 두고 금융권 안팎에서는 중소기업 경영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금융권에서는 은행별 대출자산 수익성과 건전성 관리가 강화되고, 금융사의 밸류업 추진과 고환율 기조 등을 바탕으로 은행 내 자본비율 관리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신용위험이 높은 중소기업 대출 문턱이 더욱 올라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은이 지난달 16일 금융중개지원대출 한도를 기존 9조원에서 14조원으로 늘리며 중기 자금 수요 해결에 나섰지만, 연체액 대비 이자경감 규모 등을 두고 역부족이라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은보 “투자자 신뢰 찾아 프리미어 시장으로”
- '금융지주 효자' KB손보·신한라이프…동양·ABL 향방은
- [부고] 홍정표 한화생명 커뮤니케이션실 부사장 부친상
- "따뜻한 금융 실현"…전북은행, ‘JB희망의 공부방 제190호’ 오픈
- "트럼프 상호관세 관망"…환율 1.4원 오른 1452.6원 마감
- 코스피, 사흘 만에 상승 마감 '2540선 근접'…코스닥 약보합
- 신한은행, 신한갤러리 장애예술작가 그룹전 ‘투명한 몸짓들’ 개최
- IBK기업은행, 탄소중립 이행 인정…CDP ‘리더십 A’ 획득
-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자회사 직접 찾아 '신뢰회복' 다짐
- KB금융 경영진 25명, 자사주 2만주 매입…"기업가치 제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충우 여주시장, 신년언론브리핑..."최고 관광도시로의 도약"
- 2양주시, 축제 2곳 '경기대표관광축제'로 선정
- 3최수연 네이버 대표, 프랑스 AI Action Summit 참석
- 4강석진 중진공 이사장, 김해골든루트일반산단 현장 방문
- 5광주 시민사회, 진실증언 ‘곽종근 구하기’ 탄원서 제출 열기 ‘후끈’
- 6“무주택·거주지 따진다”…‘무순위 청약’ 개편
- 7“GS25편의점서 무신사 옷 사요”…온·오프라인 결합 속도
- 8“문어발 확장 그만”…카카오, 비핵심 사업 정리 잰걸음
- 9은행 "건전성 강화에 집중"... 中企 대출 문턱 더 높아진다
- 10美 “3월12일부터 한국 등에 25% 철강 관세”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