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건전성 강화에 집중"... 中企 대출 문턱 더 높아진다
금융·증권
입력 2025-02-11 18:24:56
수정 2025-02-11 18:24:56
이연아 기자
0개
5대 은행 기업대출 잔액 825조 7228억원
대기업대출 17% 증가, 중기대출 5% 증가 그쳐
올해 1분기 중소기업 신용위험지수 39 전망
2022년 4분기 이후 최고치 신용위험지수 기록
올해 중소기업 대출 문턱 더 높아질 전망

은행이 경기 불확실성 확대에 따라 건전성 관리를 위해 기업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업보다 신용위험이 커진 중소기업 대출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825조 7228억원입니다.
이 가운데 대기업대출 규모는 163조996억원, 중소기업 대출은 662조 6232억원입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을 보면 대기업대출은 17%가 넘지만, 중소기업 대출은 5%에 불과합니다.
올해는 중소기업 대출 문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를 통해 올해 1분기 중소기업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를 39로 발표했습니다.
2022년 4분기 이후 최고치인데, 한은은 모든 업종 중소기업 신용위험이 높은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조이기에 나서자, 은행권에서는 일제히 기업대출로 영업방향을 전환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9월부터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경고음이 울리기 시작했고, 10월 말 기준 5대 시중은행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국민 0.47%, 신한 0.42%, 하나 0.63%, 우리 0.49%, 농협 0.88%으로 한 달 만에 최대 0.12%p 상승했습니다.
급기야 지난해 말 기준 5대 은행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전 분기 대비 13.1% 늘었지만,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20.9% 줄어드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를 두고 금융권 안팎에서는 중소기업 경영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큽니다.
금융권에서는 은행별 대출자산 수익성과 건전성 관리가 강화되고, 금융사의 밸류업 추진과 고환율 기조 등을 바탕으로 은행 내 자본비율 관리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신용위험이 높은 중소기업 대출 문턱이 더욱 올라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은이 지난달 16일 금융중개지원대출 한도를 기존 9조원에서 14조원으로 늘리며 중기 자금 수요 해결에 나섰지만, 연체액 대비 이자경감 규모 등을 두고 역부족이라는 의견도 제기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조좌진 사임 각오에도…MBK 관리 책임 정치권으로
- 한은 10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집값 변수 여전
- DB자동차보험손해사정, 자배원에 사고 피해가정 지원 기부금 전달
- 네오펙트, 실버스토리와 MOU 체결…“시니어 케어 시장 공략”
- 카카오인베스트먼트-4대 과기원, '지역 AI 육성 프로젝트' 협력
- 신한은행, 'SOL트래블 체크카드' 250만좌 돌파 기념 이벤트 진행
-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생산적·포용금융 확고히 실천할 것"
- 신한투자증권, 해외 레버리지 ETF 사전교육 이벤트 실시
- 키움운용, ‘KIWOOM 미국고배당&AI테크 ETF’ 23일 신규 상장
- 신한자산운용, 달러단기자금펀드(USD) 수탁고 1조원 돌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