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꺾인 KGM…“전기·하이브리드로 반등 기회”
경제·산업
입력 2025-03-05 18:33:08
수정 2025-03-05 18:33:08
이혜란 기자
0개

[앵커]
지난해 내수 판매 부진을 겪은 KG 모빌리티(KGM)가 올해 다양한 신차 출시로 반등에 나서겠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수출 확대에도 내수가 발목을 잡았던 만큼 국내 소비자들의 수요가 큰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확대하고, 수출 비중을 확대한다는 전략입니다. 이혜란 기잡니다.
[기자]
지난해 국내에서 전년보다 25.7% 줄어든 4만7046대를 판매한 KGM.
국내 시장 점유율은 3.5%를 기록했습니다.
전년(4.4%) 보다 0.9%포인트 떨어지며 입지가 더 좁아진 겁니다.
수출량은 6만2378대로 전년대비 18.2% 늘었지만 내수 부진으로 전체 판매량은 전년 대비 5.7% 줄어든 10만9424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중형 SUV 액티언을 야심차게 내놨지만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부재 등으로 점유율 반등에 실패했기 때문.
KGM은 올해 파워트레인 라인업 확대와, 픽업트럭 신차 출시 등으로 분위기 반전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싱크] 곽재선 / KGM 회장
“현실적으로 그동안 많은 어려움과 부침을 겪으면서 제대로 된 제품을 많이 못 내놨습니다. (이제는)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에 의해서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장착할 것입니다”
KGM은 오늘(5일) 경기도 평택 KGM 본사에서 국내 최초 전기 픽업 트럭 ‘무쏘 EV’를 공개했습니다.
무쏘 EV는 LFP 배터리를 탑재하고, 1회 충전 시 400km를 주행할 수 있습니다. 친환경(전기) 화물차로 분류돼 승용 전기차보다 더 많은 보조금 지원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기아도 비슷한 시기 브랜드 첫 픽업트럭 ‘타스만’을 선보인 만큼 국내 픽업트럭 시장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습니다.
KGM은 3월 중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출시도 앞두고 있습니다. 국내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늘리는 겁니다.
KGM은 올해 판매 목표도 지난해 보다 23.4% 증가한 13만5000대로 잡았습니다. 수출량 확대를 돌파구로 삼는 것.
KGM은 해외 시장에서 지난해 대비 46.7% 증가한 9만대를 판매해, 수출 비중을 57%에서 올해 68%까지 확대한다는 목표입니다.
KGM은 동유럽, 중동 등 신흥 국가로 시장을 개척하며 판매 확대에 나설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취재 김경진 /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T,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서 ESG 방향 모색
- SK·한화·LG 등 재계 총수들 방미사절단 '출국'
- SK온·에코프로 '맞손'…폐배터리 순환 생태계 구축
- 안보실장 “한일 정상, 회담서 관세 협상 소통"
- LG AI대학원, 국내 첫 교육부 인가 사내대학원 출범
- 노란봉투법, 與 주도로 본회의 통과…국힘, 표결 불참
- 삼성물산, 반포 삼호가든5차 재건축 시공사 선정
- LG전자, 올레드 TV로 '프리즈 서울 2025'서 故 박서보 작품 선봬
- 현대차·기아, 미국서 친환경차 누적판매 150만대 돌파
- 서울 갭투자, 의심거래 87% 급감…6·27 대출 규제 영향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익근(대신증권 대표이사 사장)씨 모친상
- 2SKT,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서 ESG 방향 모색
- 3SK·한화·LG 등 재계 총수들 방미사절단 '출국'
- 4대구행복진흥원, 팔공산 달빛걷기대회 참가. . . 기관 홍보 활동 실시
- 5수성구, 2025 하반기 찾아가는 미래마을교육 본격 추진
- 6수성구 범물종합사회복지관, 지역 유관기관과 ‘스마트 정신건강 안심 복약서비스’ 협약 체결
- 7차규근 의원 “대출 규제 시행하자 강남구 갭투자 ‘전멸’ 했다“
- 8SK온·에코프로 '맞손'…폐배터리 순환 생태계 구축
- 9안보실장 “한일 정상, 회담서 관세 협상 소통"
- 10LG AI대학원, 국내 첫 교육부 인가 사내대학원 출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