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證 "현대차·기아, 美 관세 부과에 현지 생산으로 피해 줄여"
금융·증권
입력 2025-03-28 09:00:01
수정 2025-03-28 09:00:01
김수윤 기자
0개
"50만대 생산 시 현대차 영업이익 5000억원 증가 전망"

[서울경제TV=김수윤 인턴기자] KB증권은 28일 현대차와 기아가 미국의 수입차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량을 확대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모든 수입차에 관세를 부과하면 현대차와 기아의 영업이익 감소 폭은 각각 연 3조4000억원, 2조3000억원으로 예상된다"며 "HMGMA의 생산 대수가 늘어나면 피해 규모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HMGMA가 연 30만대를 생산할 경우 현대차와 기아의 영업이익 감소 폭은 각각 1조원과 9000억원으로 줄어들고, 연 50만대 생산 시 현대차의 영업이익은 오히려 5000억원 증가하며 기아의 영업이익도 관세 부과 전과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미국이 모든 수입차에 관세를 부과하면서 소비자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관세의 71%가 미국 소비자에게 전가될 경우, HMGMA의 가동이 없어도 자동차 가격 상승 효과로 관세 피해를 상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외국산 차량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대해 강 연구원은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절반이 수입차여서 현지 생산만으로 이를 단기간에 대체하기는 어렵다"며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내 차량 가격이 2000∼7000달러 상승하고 중고차 가격도 급등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HMGMA는 미국 조지아주 엘라벨에 위치한 현대차그룹의 세 번째 미국 생산 거점으로, 최신 로봇 및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생산성을 높였다. /su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금융위 이억원 · 금감원 이찬진...'원팀' 생산적 금융 대전환 이루나
- 민병덕 "MBK 홈플러스 인수에 6000억 이상 공적자금 투입…엄중 수사 필요"
- 은행권 경계 허무는 '임베디드 금융' 뜬다
- “유커 돌아온다”…호텔·카지노株 최대 수혜?
- 한화생명, 이익 급감…해외 확장 전략 부담
- 나라셀라, 2분기 매출액 185억…전년比 4.8%↑
- 센코, 상반기 매출 159억 원…대외 변수 속 안정적 성장
- 그린플러스, 국내 스마트팜 수주 호조…상반기 매출 23.5% 성장
- KS인더스트리 “9월 임시주총 소집…이사 선임 안건 등 추진”
- 알엔투테크놀로지, 2분기 매출 44억…전년比 72.9%↑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감성 소비 트렌드 주도"…식음료업계, 작가·캐릭터 협업 활발
- 2AI 관리의 새로운 접근법…‘모성 본능’으로 초지능 AI 대응
- 3방사청장 임명 임박…K-방산 갈등 수습할까
- 4"걸을 때 발 방향만 조금 교정해도 '무릎관절염' 완화"
- 5경기 이천, 도심 속 여름 축제 ‘이천물놀이한판’ 성황
- 6이마트, 18일부터 '추석 선물세트' 사전예약 시작
- 7여수 신북항서 선박 2척 화재…2명 사상·16명 구조
- 8완도해경, 밤바다에 추락한 관광객 2명 신속 구조
- 9관광, 빛을 보는 여행에서 역사를 마주하는 여행까지
- 10코로나19 입원환자 6주 연속 증가…"60% 고령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