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국가대표' 프로젝트…컴퓨팅 자원 받을 업체 누가 될까
경제·산업
입력 2025-03-30 08:00:06
수정 2025-03-30 08:00:06
이수빈 기자
0개
일부 상위권 AI개발사 위주 몰아줄 듯
특혜 우려에 나눠줄 수 있다는 전망도

지난 1월 말 비슷한 시기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미국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와 중국의 딥시크 모델 출현은 모두 정부라는 거대한 '손'이 AI 기술 경쟁에서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 새삼 상기시켰다.
우리나라에서도 '될성부른' AI 모델 개발사를 국가가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딥시크, 스타게이트의 출현 전에도 AI 업계와 관련 전문가들의 입에서 자주 거론됐다.
공식적으로 파악된 국내 보유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엔비디아 H100 기준 2000여장에 불과해 수십만장을 쌓아놓고 AI 모델 고도화에 매진하는 미국 등 빅테크와 경쟁이 안 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고 AI 개발업체에 몰아주라는 요구였다.
정부는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 최대 2조5000억원이 투자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계획을 세웠고, 올해 GPU 1만장 도입을 단기 목표로 제시했다.
순차적으로 컴퓨팅 파워를 늘리면서 국내 AI 모델 개발사들에 제공하겠다는 구상인데, 아무나 원한다고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AI 국가대표 프로젝트인 '월드 베스트 LLM'(가칭·WBL)을 통해 뽑힌 인공지능 정예 팀에 컴퓨팅 자원 활용권을 주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AI 모델 개발 역량이 있는 국내 업체가 10곳을 넘지 않는다는 것이 중론인데, 순위를 매겨 상위권에 컴퓨팅 자원 활용권이 돌아갈 공산이 크다.
최근 수학과 과학에 특히 탁월한 추론모델 벤치마크 결과를 발표한 LG AI연구원의 엑사원,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업스테이지 솔라 등이 상위권에 오를 것으로 업계 안팎에선 전망한다.
업계 일각에서는 특정 업체에 GPU 자원을 몰아줄 경우 특혜 논란이 일 것을 우려한 정부가 컴퓨팅 자원 몰아주기보다는 여러 업체에 골고루 나눠주는 전략을 택하는 것 아니냐는 예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업계 경쟁을 통한 모델 발전도 중요하게 보고 있어 '나눠주기식' 컴퓨팅 파워 배분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으면서 "다만, 단기 프로젝트로는 보지 않고 2∼3년에 걸친 중장기 국가대표 AI 모델 육성이 목표"라고 말했다.
AI 업계 관계자도 "지금 AI 기술 전쟁에는 1분 1초, 컴퓨팅 파워 하나하나가 중요한 상황"이라며 "정치적 고려보다는 전략적인 지원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달 말 의견수렴을 거쳐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의 상세 기획안을 공개할 예정이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넷플릭스 다음 누구…OTT 2위 경쟁 ‘치열’
- 안전운임제, 3년 연장…경제계 "수출경쟁력 타격 불가피"
- 진격의 한화오션, 대만서 또 2兆 잭팟…美·加 공략 속도
- 롯데온, 사업재편으로 적자 탈출 노력…반등 노린다
- 1兆 규모 ESS 입찰 이번 주 윤곽…韓 배터리사 3파전
- “SK에코플랜트, IPO 앞두고 매출 부풀리기” VS “사실 아냐”
- 삼성, ‘2나노 전쟁’ 승부수…파운드리 반등하나
- 현대차그룹, 집중호우 피해 복구 성금 20억 전달
- 삼성, 수해 복구 성금 30억원 기부…"가전 무상수리·긴급 구호"
- 대동고려삼, 특허 제품 ‘홍삼&오일 TX GOLD’ 출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달성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작
- 2그늘진 곳에 햇살을, 김천 복지의 내일을 그리다
- 3주낙영 경주시장, 확대간부회의 주재…집중호우 피해·하반기 정책과제 점검
- 4본격 피서철 앞둔 포항시 해수욕장, 다양한 축제·문화 행사로 ‘활기’
- 5김천교육청, 2025 김천교육지원청부설 영재교육원 영재캠프 실시
- 6영천시, 집중호우 이후 농작물 관리 철저 당부
- 7경북 22개 시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
- 8의성군, 7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지급 시작
- 9“오처방·오남용으로 얼룩진 GLP-1 비만치료제… 적정 사용 위한 사회적 논의 필요"
- 10남양주, “GTX·수소로 달린다”…100만 시동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