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국가대표' 프로젝트…컴퓨팅 자원 받을 업체 누가 될까
경제·산업
입력 2025-03-30 08:00:06
수정 2025-03-30 08:00:06
이수빈 기자
0개
일부 상위권 AI개발사 위주 몰아줄 듯
특혜 우려에 나눠줄 수 있다는 전망도

지난 1월 말 비슷한 시기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미국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와 중국의 딥시크 모델 출현은 모두 정부라는 거대한 '손'이 AI 기술 경쟁에서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 새삼 상기시켰다.
우리나라에서도 '될성부른' AI 모델 개발사를 국가가 전폭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딥시크, 스타게이트의 출현 전에도 AI 업계와 관련 전문가들의 입에서 자주 거론됐다.
공식적으로 파악된 국내 보유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엔비디아 H100 기준 2000여장에 불과해 수십만장을 쌓아놓고 AI 모델 고도화에 매진하는 미국 등 빅테크와 경쟁이 안 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고 AI 개발업체에 몰아주라는 요구였다.
정부는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 최대 2조5000억원이 투자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 구축 계획을 세웠고, 올해 GPU 1만장 도입을 단기 목표로 제시했다.
순차적으로 컴퓨팅 파워를 늘리면서 국내 AI 모델 개발사들에 제공하겠다는 구상인데, 아무나 원한다고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AI 국가대표 프로젝트인 '월드 베스트 LLM'(가칭·WBL)을 통해 뽑힌 인공지능 정예 팀에 컴퓨팅 자원 활용권을 주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AI 모델 개발 역량이 있는 국내 업체가 10곳을 넘지 않는다는 것이 중론인데, 순위를 매겨 상위권에 컴퓨팅 자원 활용권이 돌아갈 공산이 크다.
최근 수학과 과학에 특히 탁월한 추론모델 벤치마크 결과를 발표한 LG AI연구원의 엑사원,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업스테이지 솔라 등이 상위권에 오를 것으로 업계 안팎에선 전망한다.
업계 일각에서는 특정 업체에 GPU 자원을 몰아줄 경우 특혜 논란이 일 것을 우려한 정부가 컴퓨팅 자원 몰아주기보다는 여러 업체에 골고루 나눠주는 전략을 택하는 것 아니냐는 예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업계 경쟁을 통한 모델 발전도 중요하게 보고 있어 '나눠주기식' 컴퓨팅 파워 배분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으면서 "다만, 단기 프로젝트로는 보지 않고 2∼3년에 걸친 중장기 국가대표 AI 모델 육성이 목표"라고 말했다.
AI 업계 관계자도 "지금 AI 기술 전쟁에는 1분 1초, 컴퓨팅 파워 하나하나가 중요한 상황"이라며 "정치적 고려보다는 전략적인 지원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달 말 의견수렴을 거쳐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의 상세 기획안을 공개할 예정이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 중단"
- 기재차관, 위기상황대응본부 긴급소집…e나라도움 등 피해 점검
- 美대법원, 트럼프 '국제원조예산 5.6조원 동결' 허용
- "현지 업체 반응 뜨거워"…NC AI, 도쿄게임쇼 참가
- 정부 내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 마비…"접속 불가"
- WSJ "美 자동차 산업, 경제에 경고 신호 보내"
- 통계청 "통계청 홈페이지·국가통계포털 등 서비스 되지 않아"
- 정부 고위관계자 "경주APEC계기 북미 정상대화 가능성 배제못해"
- 美의약품관세, 日·EU 15%…韓 당분간 100%
- 톤캬, 현대백화점 판교점 ‘팝업스토어’ 오픈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펫코노미 시대, 관광의 새로운 해답은 ‘반려동물 동반여행’
- 2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 중단"
- 3기재차관, 위기상황대응본부 긴급소집…e나라도움 등 피해 점검
- 4美대법원, 트럼프 '국제원조예산 5.6조원 동결' 허용
- 5하반기 은행, 건전성 시험대…부실채권 시장이 관건
- 6"현지 업체 반응 뜨거워"…NC AI, 도쿄게임쇼 참가
- 7정부 내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 마비…"접속 불가"
- 8WSJ "美 자동차 산업, 경제에 경고 신호 보내"
- 9통계청 "통계청 홈페이지·국가통계포털 등 서비스 되지 않아"
- 10정부 고위관계자 "경주APEC계기 북미 정상대화 가능성 배제못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