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마·용·성 아파트값 상승…노·도·강은 여전히 '마이너스'
경제·산업
입력 2025-05-04 11:41:53
수정 2025-05-04 11:41:53
김보연 기자
0개
1~4월 서울 1.35%↑
'똘똘한 한채' 선호 영향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을 포함한 일부 외곽 지역은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4일 한국부동산원의 지역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을 보면 지난 1월 1일부터 지난달 28일까지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35% 상승했다.
전체 서울 자치구 25곳 중 20곳이 올랐는데, 강남3구는 3~4% 상승했고 노원(-0.22%), 도봉(-0.15%), 강북(-0.04%), 중랑(-0.15%), 금천(-0.02%) 등 5곳은 감소했다.
실제 강남권을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는 것과 달리 노도강 지역 매매가격은 지난 2021~2022년의 전고점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다.
노원 중계주공 5단지 전용 76㎡경우, 지난달 9억6000만원에 거래됐으나, 2021년 최고가는 11억8400만원이다. 도봉 창동 북한산아이파크 84㎡도 지난달 8억7000만원에 팔렸다. 2021년 최고가(12억원)의 72%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중심지 가격이 상승하면 외곽도 가격 '키 맞추기'를 하며 뒤따라 오르던 이전 부동산 시장 트렌드와 달리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다주택자 및 대출 규제 속에 '똘똘한 한 채'와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부동산 시장 흐름을 좌우하는 분위기가 지속되며 외곽 지역이 소외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서울 부동산 시장을 움직이는 중심축은 40대의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라며 "거주 목적의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핵심인 상황에선 외곽이 소외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이어 "외곽지 가격은 투자 수요와 연관성이 있는데 현재 서울의 집값 대비 전셋값 비율이 54% 정도로 낮아 갭투자 매력이 적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요즘 사람들은 부동산도 투자 개념에서 접근하는데 대출 금리와 사고파는 과정에서의 각종 비용을 생각하면 미국 주식이 더 매력적이라고 보는 것"이라며 "과거와 같이 중심이 오르면 주변도 따라 오른다는 생각이 이제는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제언했다./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관세 협상 카드 된 구글 ‘정밀 지도’…네카오 우려
- SKT "유심보호서비스 1991만명 가입…교체 95만여명"
- 환율 변동성 2년5개월 만에 최대…일평균 9.7원 움직여
- 공공기관장 업추비 '1등' 탄소진흥원…평균 1200만원
- "가전·TV보다 효자사업"…'호실적' 전장에 힘주는 삼성·LG전자
- K·조선업, '트럼프 효과' 기대…美 현지화·인력난은 극복해야
- '해방의 날' 충격 회복…파월 '입'으로 옮겨간 시선
- 니뽕내뽕, 신메뉴 '치즈라구뽕·치즈라구또' 출시
- 사라진 '경제사령탑' 장관급 정책조율 표류…베선트 핫라인도 중단
- '건기식 소규모 개인 간 거래 시범사업', 연말까지 연장된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주식 투자 대가' 워런 버핏, 연말 은퇴 선언…60년만
- 2검찰 '보완수사' 요구 10만건 넘겨…지난해 최대치
- 3경기도, 국장급 5자리 신설 추진…도의회 "필요성 볼 것"
- 4관세 협상 카드 된 구글 ‘정밀 지도’…네카오 우려
- 5금감원, 키움증권 수시검사…"이틀 연속 전산장애 원인 파악"
- 6SKT "유심보호서비스 1991만명 가입…교체 95만여명"
- 7환율 변동성 2년5개월 만에 최대…일평균 9.7원 움직여
- 8강남3구·마·용·성 아파트값 상승…노·도·강은 여전히 '마이너스'
- 9공공기관장 업추비 '1등' 탄소진흥원…평균 1200만원
- 10"가전·TV보다 효자사업"…'호실적' 전장에 힘주는 삼성·LG전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