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4人4色 | 유기준] 숨 쉬는 그릇, 살아있는 공예 – 옹기와 생활 속의 자연미학
전국
입력 2025-06-14 01:42:43
수정 2025-06-14 01:42:43
이경선 기자
0개
유기준 (재)전주문화재단 공예품전시관운영팀 차장

우리의 일상에서 가장 가까운 공예는 ‘그릇’이다. 음식을 담고, 발효를 돕고, 삶의 시간을 간직하는 그릇. 그중에서도 옹기는 유난히 자연과 가까운 도자기다. 숨 쉬는 그릇, 살아있는 용기. 옹기는 단순한 전통 유물이 아니다. 오늘날 지속가능한 생활문화의 대안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살아있는 공예품이다.
옹기는 흙과 물, 불이라는 자연의 요소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그것이 도자기와 결정적으로 다른 점은 ‘숨을 쉰다’는 것이다. 표면의 작은 기공들이 공기를 순환시키고, 내부와 외부의 습도와 온도를 조절한다. 이 특성은 발효식품을 숙성시키는 데 탁월한 기능을 발휘하며, 예부터 김치독, 된장독으로 활용되어왔다. 오늘날, 건강한 식문화와 천연 발효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옹기의 가치가 다시 조명되고 있다.
이러한 옹기의 생명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현장이 전북특별자치도 김제 부거리 마을에 있다. 이곳에서 전통 장작가마를 지키며 옹기를 만드는 이는 전북특별자치도 무형유산 부거리옹기장, 안시성 장인이다. 그는 전국에서도 몇 남지 않은 전통 옹기 제작 기술자 중 한 사람으로, 전라도 고유의 ‘쳇바퀴 태렴’ 방식과 장작가마 소성을 고수하고 있다. 이 방식은 단순한 생산이 아닌, 흙과 불, 시간과 정성이 어우러져야만 가능한 예술적 노동이다.




옹기는 여전히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자연과 함께 숨 쉬기를 바라는 모든 삶 앞에.
▲ 유기준 (재)전주문화재단 공예품전시관운영팀 차장
'문화 4人4色'은 전북 문화·예술 분야의 네 전문가가 도민에게 문화의 다양한 시각과 깊이 있는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해 매주 한 차례씩 기고, 생생한 리뷰, 기획기사 등의 형태로 진행됩니다. 본 기고는 본지의 취재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명호(전 계명문화대 총장) 씨 별세
- 2尹부부, 구치소서 맞는 추석… "특식 없이 실외 운동 시간 제공"
- 3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율 53.5%…4주 만에 반등
- 4산업장관, 방미 귀국…"한국 외환시장 민감성 상당한 공감대"
- 5서울시, 취약 어르신 3만5000명에 추석 특식 제공
- 6작년 추석연휴 휴게소서 1인 1만5000원 썼다
- 7OPEC+, 11월 소폭증산 합의…공급과잉 우려 완화
- 8촉법소년 , 2년 간 2만명 넘어…"30% 가까이 늘어"
- 9추석 차례상 비용 20~30만원대…"작년보다 1% 낮아"
- 10K-헤어케어 브랜드 트리셀, 美 코스트코 오프라인 매장 전격 런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