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정부 포용금융 바람 타고 '중금리 대출시장' 커지나
금융·증권
입력 2025-06-13 18:48:43
수정 2025-06-13 18:48:43
이연아 기자
0개

[앵커]
은행권에서는 중금리 대출 시장 규모가 커질 조짐이 보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포용금융 정책공약 일환으로 나온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이 대표적입니다. 또, 기존 인터넷은행들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도 상향 조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 설립 추진을 공약함에 따라, 은행권이 크게 술렁이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은 서민과 소상공인을 위한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 설립과 기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의무 대출 비중 상향 조정 투트랙 지원으로 포용금융 확대를 실천한다는 계획입니다.
이 때문에 지난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된 제4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심사는 좌초위기에서 벗어나 출범 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한국소호은행 등 4곳 컨소시엄(한국소호은행·소소뱅크·AMZ뱅크·포도뱅크)에 대한 총 3단계 심사가 남았고 당초 일정보다 심사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늦어도 다음달 윤곽이 나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무엇보다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방점이 찍힌 제4인뱅 출범 취지가 이 대통령의 공약과 맞물리면서 긍정적 전망이 우세합니다.
인터넷은행 3사(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 비중도 상향 조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인터넷은행 3사(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는 금융당국 권고기준에 따라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공급 비중 목표치를 평균잔액과 더불어 신규 공급까지 30%로 맞춰 운영 중입니다.
이를 두고 그간 금융권 안팎에서는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를 위한 대출 확대 설립 취지를 외면하고, 시중은행과 비슷한 고신용자 중심 담보 대출 영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현재 금융위원회는 해당 정책공약들을 우선검토 중인데, 새 정부 국정위원회가 오는 8월까지 운영을 마친 후 구체적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일각에서 제기된 시중은행 대상 중금리 대출 권고비율 기준 도입은 제외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당국은 이와 관련해서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는데, 당국과 정치권 모두 출범 취지를 우선 고려해 인터넷은행을 통한 중금리 대출 확대를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조각투자 유통 플랫폼 1호?…증권가·STO 업체 경쟁 치열
- 한화·하나·흥국·삼성액티브자산운용ETF 5종목 신규상장
- 금융당국 개편 철회…현안 기대 속 불확실성 여전
- “내 종목만 왜 이래?”…상승장 속 커지는 소외감
- 네이버, 두나무 편입…스테이블코인 판도 바뀐다
- 전북은행, 추석 맞아 2025 '一石二鳥 추석 나눔' 사업 전달식
- 신한은행-예스퓨처, '외국인 고객 서비스 강화' 위해 MOU 체결
- 신한투자증권, 2025 중국시장포럼 성료
- 신한투자증권, 무디스 등급 전망 '안정적'으로 상향
- 비에이치아이, LNG 발전설비 고도화…'친환경 에너지원 연구개발 가속'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코스멘토코리아 ‘헤브블루’, 북미 진출 6개월 만에 성과 기록
- 2'이군현 전 의원 자서전' 화제…소년 노동자에서 KAIST 교수를 넘어
- 3美잔류 택한 구금 한국인, 체포 22일만에 보석으로 석방
- 45‧18 기록화가 장운명 작가 “5월 상처속에 사는 이들에게 치유의 메시지 안겨주고 싶어”
- 5과기정통부, 행정시스템 장애 대응 '경계' 위기경보 발령
- 6美국무부 부장관 "비자 후속조치 곧 시행…관세 韓입장 잘 고려"
- 7주유소 기름값 7주 만에 상승 전환…"다음주도 소폭 오를 것"
- 8중소기업 3곳 中 1곳, "추석 자금 사정 곤란"
- 9정부 “2035년 내연차 판매 제한 검토”…車업계 “현실적 목표 필요”
- 10기업 체감경기, 두 달 연속 개선…'반도체 호조·소비쿠폰' 영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