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정부 포용금융 바람 타고 '중금리 대출시장' 커지나
금융·증권
입력 2025-06-13 18:48:43
수정 2025-06-13 18:48:43
이연아 기자
0개

[앵커]
은행권에서는 중금리 대출 시장 규모가 커질 조짐이 보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포용금융 정책공약 일환으로 나온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이 대표적입니다. 또, 기존 인터넷은행들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도 상향 조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 설립 추진을 공약함에 따라, 은행권이 크게 술렁이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은 서민과 소상공인을 위한 중금리대출 전문 인터넷은행 설립과 기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의무 대출 비중 상향 조정 투트랙 지원으로 포용금융 확대를 실천한다는 계획입니다.
이 때문에 지난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된 제4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 심사는 좌초위기에서 벗어나 출범 쪽으로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한국소호은행 등 4곳 컨소시엄(한국소호은행·소소뱅크·AMZ뱅크·포도뱅크)에 대한 총 3단계 심사가 남았고 당초 일정보다 심사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늦어도 다음달 윤곽이 나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무엇보다 소상공인 금융지원에 방점이 찍힌 제4인뱅 출범 취지가 이 대통령의 공약과 맞물리면서 긍정적 전망이 우세합니다.
인터넷은행 3사(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 비중도 상향 조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인터넷은행 3사(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는 금융당국 권고기준에 따라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공급 비중 목표치를 평균잔액과 더불어 신규 공급까지 30%로 맞춰 운영 중입니다.
이를 두고 그간 금융권 안팎에서는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를 위한 대출 확대 설립 취지를 외면하고, 시중은행과 비슷한 고신용자 중심 담보 대출 영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현재 금융위원회는 해당 정책공약들을 우선검토 중인데, 새 정부 국정위원회가 오는 8월까지 운영을 마친 후 구체적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일각에서 제기된 시중은행 대상 중금리 대출 권고비율 기준 도입은 제외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당국은 이와 관련해서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는데, 당국과 정치권 모두 출범 취지를 우선 고려해 인터넷은행을 통한 중금리 대출 확대를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농협중앙회, 종합경영분석회의 개최…"비상경영대책 이행" 당부
- 우리금융그룹, 상반기 순익 1조5513억…전년比 11.6%↓
- NH농협손보 손해율 비상…高정책보험 '부메랑'
- 글로벌 사업 날개 단 JB금융…최대 실적 속 인니 진출
- 비단, 블록체인 실물자산 누적 거래액 1조2000억원 돌파
- 윤희성 수출입은행장 퇴임…"3년간 韓 경제영토 넓히려 노력"
- 우리투자증권, 상반기 영업이익 149억원…전년 比 189.9% 증가
- 하나금융그룹, 상반기 순익 '역대 최대' 2조3010억원
- 웅진프리드라이프, 키움히어로즈 파트너데이 성료
- 신한금융그룹, 상반기 순익 3조 시대 열었다…역대 최대 실적 달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