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사람' 외친 한덕수...'5·18민주화운동'은 '광주사태'
전국
입력 2025-05-04 18:48:37
수정 2025-05-04 18:48:37
나윤상 기자
0개
'광주사태' 전두환 신군부가 민주화운동 폄훼하기 위해 사용

[서울경제TV 광주⋅전남=나윤상 기자] 오월단체가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5 ·18광주사태 발언'을 두고 스스로 내란동조세력임을 입증했다며 비난했다.
4일 5 ·18기념재단과 5 ·18공법단체들은 공동 성명서를 통해 "대선을 앞두고 한덕수 후보가 광주 5 ·18민주묘지 방문이 무산되자 거듭 찾아가겠다고 말하면서도 5 ·18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로 칭해 중대한 역사왜곡을 서슴지 않았다"며 "이는 그가 5 ·18민주화운동을 부저앟고 왜곡하는 내란동조세력의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함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한 후보는 전두환 군사정권 시절 고위 공직 경력을 바탕으로 국무총리에 오른 인물로 헌정을 파괴한 내란세력의 통치 질서에 복무한 인물이다"면서 "그런 이력에도 일말의 반성과 책임 의식조차 없어 이는 5 ·18 희생자와 유가족 그리고 국민에 대한 명백한 모욕이다"고 직격했다.
앞서 지난 2일 한 전 총리는 광주를 찾아 5 ·18민주묘지 참배에 나섰지만 시민단체의 반발로 무산됐다. 당시 한 전 총리는 민주의 문 앞에서 묵념을 하고 시민단체를 향해 "저도 호남사람이다"고 외치며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다음날 헌정회를 찾은 한 전 총리는 5 ·18광주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라고 발언하면서 왜곡된 역사인식을 보여줬다.
‘광주 사태’라는 표현은 5·18직후 전직 대통령 전두환씨 등 신군부가 사안을 ‘소요 사태’로 축소하기 위해 사용한 표현으로 아직도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왜곡·폄훼하는 세력들은 광주사태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
1995년 제정된 5·18민주화운동 특별법은 5·18에 대해 “1979년 12월12일과 1980년 5월18일을 전후하여 발생한 헌정질서 파괴범죄와 반인도적 범죄에 대항하여 시민들이 전개한 민주화운동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SNS를 통해 "한 후보가 아직도 5 ·18광주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라고 반복하는 것을 보고 부끄러움이 밀려온다"면서 "지난 45년, 겹겹이 쌓인 기억과 아픔의 첫 겹조차 모르는 '호남사람' 그래서 더 부끄럽고 화가 난다"고 밝혔다.
/kncfe0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백상] 최대호 안양시장, 박달 스마트시티 조성
- 공영민 고흥군수 "농업재해 인정, 품질 저하 벼 전량 정부수매 건의"
- 5·18 유적 사진 담던 시민군 김향득 사진작가 별세
- 차규근 의원 “한국은행 소유한 미술작품 친일 논란 작가 5명 확인, 총 3억 1천만원”
- 김승수 의원 “30년 이상 노후주택 전국 557만호...안전평가 강화 등 대책 필요”
- 차규근 의원 “수은 EDCF 청년지역전문가 합격자 증가에 반해, 실제 입행자는 줄어”
- 차규근 의원 “국내은행 금융배출량 목표 대비 10.2백만톤(+6.7%) 초과 예상”
- 김위상 의원 “2년 새 갑절 뛴 수입 멸종위기종, 보존 의무 환경부조차 몰라”
- 김승수 의원 “2020년부터 국가유산청 해킹 시도 약 3만 6천 건…국가 정보 위기 상황, 각별한 보안대책 마련 필요”
- 김위상 의원 “임금체불 피해 커지는데...사법처리는 4건 중 1건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빵플레이션' 베이글 3년새 44% 올랐다
- 2최대호 안양시장, 박달 스마트시티 조성
- 3공영민 고흥군수 "농업재해 인정, 품질 저하 벼 전량 정부수매 건의"
- 45·18 유적 사진 담던 시민군 김향득 사진작가 별세
- 5차규근 의원 “한국은행 소유한 미술작품 친일 논란 작가 5명 확인, 총 3억 1천만원”
- 6김승수 의원 “30년 이상 노후주택 전국 557만호...안전평가 강화 등 대책 필요”
- 7차규근 의원 “수은 EDCF 청년지역전문가 합격자 증가에 반해, 실제 입행자는 줄어”
- 8차규근 의원 “국내은행 금융배출량 목표 대비 10.2백만톤(+6.7%) 초과 예상”
- 9김위상 의원 “2년 새 갑절 뛴 수입 멸종위기종, 보존 의무 환경부조차 몰라”
- 10김승수 의원 “2020년부터 국가유산청 해킹 시도 약 3만 6천 건…국가 정보 위기 상황, 각별한 보안대책 마련 필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