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의료기관 폐업, 개업보다 많아
경제·산업
입력 2025-05-18 07:49:34
수정 2025-05-18 07:49:34
이혜란 기자
0개
수도권은 반대 양상 뚜렷
[서울경제TV=이혜란기자] 수도권과 달리 일부 지방에서는 의료기관의 폐업이 개업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공개한 ‘요양기관 개·폐업 현황’에 따르면, 2024년 전남에서는 의료기관 104곳이 문을 닫고 94곳이 새로 개업해 폐업률이 110.6%를 기록했다. 울산 역시 75곳이 폐업하고 69곳이 개업해 폐업률이 108.7%였다.
이외에도 충북(97.6%), 경남(89.2%), 전북(88.5%), 광주(83.6%) 등 지방에서 폐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천은 같은 해 314곳이 개업하고 191곳이 폐업해 폐업률이 60.8%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경기(폐업률 65.3%)와 서울(68.3%)도 수도권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의원급 의료기관, 이른바 ‘동네병원’의 지역별 격차는 더욱 뚜렷했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전남에서는 의원 175곳이 개업하고 158곳이 폐업해 폐업률이 90.3%에 달했다. 같은 기간 경북(81.9%), 충북(77.2%), 경남(75.7%) 등도 높은 폐업률을 보였다.
반면 경기는 같은 기간 의원 2388곳이 개업하고 1078곳이 폐업해 폐업률이 45.1%에 그쳤다. 인천(49.6%), 서울(52.8%)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진료과목별로는 저출생의 영향으로 소아청소년과와 산부인과 폐업이 두드러졌다.
2020~2024년 전국에서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426곳이 개업하고 447곳이 폐업해 폐업률이 104.9%를 기록했다. 산부인과는 같은 기간 248곳이 개업하고 219곳이 폐업해 폐업률이 88.3%였다.
반면, 정신건강의학과(15.1%), 신경과(17.5%), 내과(34.9%), 정형외과(39.6%)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폐업률을 보였다./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합병 제자리·내수 한계”…티빙, ‘벼랑 끝 확장’
- “더는 안돼” 건설현장 고강도 점검…‘대우·GS·현엔’ 촉각
- 이마트, 3분기 영업익 36%↑…“본업 강화에 성장”
- 셀트리온 또 자사주 매입...서진석 대표 승계 속도?
- 위메프 결국 ‘파산’…1세대 이커머스, 생존 시험대
- 삼성, 세대교체 ‘속도’…새 메모리 수장 나올까
- 교보생명, ‘더블업여성건강보험’ 신규특약 배타적사용권 획득
- 컬리, 3분기 영업익 61억…10년 만 '흑자전환'
- 초등교사노동조합 "국민 68.8%, 교사 사생활 통제 과도"
- 소노바, ‘EUHA 2025’서 차세대 AI 청각 플랫폼 ‘인피니오 울트라’ 공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고창에 삼성 스마트허브단지 ‘첫 삽’…호남 물류 거점
- 2엎친데 덮친 롯데손보, 금융위 제재에 "불복·법적 대응"
- 3경기도, 화성·성남을 넘어… 바이오 지도가 새로 그려진다
- 4“합병 제자리·내수 한계”…티빙, ‘벼랑 끝 확장’
- 5IMA·발행어음 임박…증권사, 내부통제 '고삐'
- 6인천시의회 조현영 의원 “AI교육 예산, 준비 없이 선확보 관행 반복”
- 7“더는 안돼” 건설현장 고강도 점검…‘대우·GS·현엔’ 촉각
- 8이마트, 3분기 영업익 36%↑…“본업 강화에 성장”
- 9셀트리온 또 자사주 매입...서진석 대표 승계 속도?
- 10위메프 결국 ‘파산’…1세대 이커머스, 생존 시험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