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업 부진’ 한화갤러리아…‘김동선 신사업’ 돌파구 될까
경제·산업
입력 2025-05-22 17:26:00
수정 2025-05-22 18:21:48
이혜연 기자
0개

[앵커]
한화갤러리아가 식음료(F&B) 사업을 확장하며 성장 돌파구를 찾고 있습니다. 주력 사업인 백화점 명품관이 경기 부진과 온라인 시장 활성화 등의 여파로 활력을 잃어가고 있기 때문인데요. 한화 3남인 김동선 부사장이 주도하고 있는 F&B 신사업이 돌파구가 될 지 주목됩니다. 이혜연 기잡니다.
[기자]
한화갤러리아가 본업인 유통 부문의 성장성에 한계를 드러내며 올해에도 ‘본업 경쟁력 강화’라는 과제를 안게 됐습니다.
백화점 업계에서 시장 점유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명품 중심의 성장 전략이 통할지도 미지수인 상황.
한화갤러리아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18억3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이상 급감했습니다. 지난 2024년 영업이익도 전년보다 68% 가까이 줄며 실적 악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화갤러리아 백화점부문의 경우 전체 매출의 절반가량이 갤러리아 명품관에서 나오는데, 이중 명품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80%에 달합니다.
명품 소비 둔화 추세에 따라 2년 연속 5개 점포 모두 매출이 역성장 했고, 시장 점유율 또한 10%를 하회하는 수준에서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면서 갤러리아백화점의 경쟁력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이 독립 경영 3년차를 맞은 가운데 본업인 유통·서비스 부문에서 뚜렷한 실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윱니다.
백화점 점포 리뉴얼 등을 통해 반전을 꾀한다는 전략이지만, 본업 회복보다 외식과 식자재 유통 등 신사업 확대에 무게를 두는 모습입니다.
실제로 지난 2023년 미국 햄버거 프랜차이즈 파이브가이즈를 국내에 들여온 데 이어 음료 제조업체 퓨어플러스를 인수했고, 최근엔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브랜드 ‘벤슨’을 론칭했습니다.
한화갤러리아의 매출 중 외식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대에 불과한 상황.
90% 가까운 매출이 백화점에서 발생하고 있는 만큼 본업 부진은 한화갤러리아의 실적 부진으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한화갤러리아가 F&B 신사업을 등에 업고 실적 개선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서울경제TV 이혜연입니다. /hy2ee@sedaily.com
[영상취재 김경진 /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파마리서치, 인적분할 철회…"시장 신뢰와 주주 소통 우선"
- “청년과 지역 잇는다”…SBA ‘청년괴짜 인생버스’ 달려요
- HD현대重·한화오션, 파업 ‘초읽기’…K-조선 제동 걸리나
- “전세 낀 아파트처럼”…홈플러스, 절박함 밴 갭투자 제안
- 프리드라이프 품은 웅진…재무 리스크 ‘부담’
- HDC현산 붕괴사고 악몽 끝?…‘수주·실적·신뢰’ 회복
-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반토막’…3.9조 자사주 취득
- 신세계 헤리티지 뮤지엄, 강이윤 작가 개인전 개최
- 동부건설, '청주4캠퍼스 부속시설 건설공사' 수주
- CJ바이오사이언스, 신임 윤상배 대표이사 내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경희 이천시장, “위기를 기회로”...첨단도시 도약까지
- 2대구대-경북대-경북연구원-KEIT, 4자 업무협약 체결
- 3대구 중구, 직원 착한가격업소 이용 릴레이 챌린지 운영
- 4여수산단 거버넌스 실무위원회 회의, 개회도 못하고 파행…“주민대표 전원 퇴장”
- 5파마리서치, 인적분할 철회…"시장 신뢰와 주주 소통 우선"
- 6“청년과 지역 잇는다”…SBA ‘청년괴짜 인생버스’ 달려요
- 7HD현대重·한화오션, 파업 ‘초읽기’…K-조선 제동 걸리나
- 8“전세 낀 아파트처럼”…홈플러스, 절박함 밴 갭투자 제안
- 9"우리 증권사로 주식 입고하세요" 고객 쟁탈전 치열
- 10기업銀, 17년 만에 신용평가 모델 손질…건전성 관리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