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음극재에 721% 상계관세 예고…포스코퓨처엠 반사이익?
경제·산업
입력 2025-05-24 08:00:04
수정 2025-05-24 08:00:04
이혜란 기자
0개
'비중국' 음극재 포스코퓨처엠, 반사이익 가능성

[서울경제TV=이혜란기자] 미국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흑연 음극재에 최대 700%대 상계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예비 판정을 내렸다.
글로벌 음극재 시장을 독점해온 중국 업체들에 대한 압박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을 비롯해 비중국계 기업에 반사이익이 돌아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20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 기업들이 정부로부터 과도한 보조금을 받아 미국 시장에서 불공정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전기차 배터리용 흑연 음극재를 판매하는 기업에 최대 721%에 이르는 상계관세를 예비 판정했다"고 밝혔다.
대표적으로 중국 최대 흑연 업체인 후저우 카이진에 712.02%, 글로벌 2위 산산의 우회 수출 창구로 알려진 상하이 사오성에 721.03%, 나머지 중국 업체에 6.5%의 세율이 적용될 예정이다. 상계관세는 보조금 혜택을 받은 기업의 수출 가격 왜곡을 상쇄하기 위해 부과되는 일종의 벌금형 관세다. 이번 조치는 사실상 미국 시장에서 중국산 흑연 음극재 퇴출을 유도하려는 수단으로 해석된다.
현재 미국은 천연 흑연의 59%, 인조 흑연의 68%를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제재가 확정될 경우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들은 중국산 음극재의 대체 공급처를 시급히 모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 세계 음극재 시장 점유율 1위부터 10위까지 모두 중국 업체가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상위 10개사의 점유율은 84%에 달한다.
포스코퓨처엠은 11위권으로 밀려 있는 상태지만, 미국의 이번 제재 조치로 인해 배터리사들의 ‘탈중국’ 움직임이 본격화되면 공급망 다변화 속 수혜 기업으로 주목받을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상계관세 예비 판정은 올 하반기 중 최종 확정 여부가 결정될 예정인 가운데, 중국산 흑연에 대한 반덤핑 조사도 별도로 진행 중이다. 최종 조치가 현실화될 경우, 배터리 소재 공급망에 적잖은 지각변동이 불가피할 거란 전망이 나온다. /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소비쿠폰 효과'에 취업자 31만2000명↑…청년·건설업은 부진
- "맛∙감성∙편의 잡았다"…간편식이 바꾸는 캠핑 밥상
- “한 알로 여러 질환 치료”…제약업계, 복합제 개발 경쟁
- 이통사, 해킹 여파 본격화…"3분기 영업익 1조 하회"
- "과일향, 사탕향"…가향담배, 청소년 흡연의 덫으로
- “벌점 42점 한 번에”…불성실공시법인 지정된 부실 상장사
- "어린이·반려동물과 함께"…가을 나들이 좋은 스타벅스 매장 어디
- 가을 산행객 급증에…"안전수칙 준수해야"
- "유럽 입맛 잡는다"…식품업계, '아누가 2025'서 현지화 승부수
- MBK·두나무·신협…금융社 수장 국감장 줄소환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의 밤, 피오리움 K-할로윈 나이트' 개막
- 2다올저축銀, 시니어 고객 대상 '금융사기 예방교육' 실시
- 3농협손보, '자율참여형 일손돕기' 프로그램 추진
- 4LG전자, 글로벌 車 소프트웨어 마켓플레이스 합류…"SDV 파트너십 확대"
- 5신한카드, 직원 참여 기부 캠페인 'GIVE & RUN' 실시
- 6고려인 문빅토르 화백 특별전 연장 개최
- 7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2.50%…집값·환율에 발 묶여 3연속 동결
- 8우리투자증권, 취약계층 청년 금융 자립 지원 프로그램 가동
- 9해빗팩토리, 350억 규모 시리즈D 투자 유치..."미국 이어 일본 공략 본격화"
- 10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3연속 동결…연 2.50% 유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