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글플래닛, ‘분다버그 코리아 10주년’ 캐릭터 제작·배포 대행
경제·산업
입력 2025-07-04 09:00:03
수정 2025-07-04 09:00:03
정창신 기자
0개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디지털 콘텐츠 전문 기업 코글플래닛은 호주 프리미엄 탄산음료 브랜드 ‘분다버그’의 한국 론칭 10주년을 기념해 분다버그 코리아 캐릭터 ‘번디’와 카카오 이모티콘 제작 및 배포를 대행했다고 4일 밝혔다.
분다버그는 호주 분다버그 지역을 대표하는 프리미엄 탄산음료로, 특유의 병 디자인과 부드럽고 깊은 맛이 특징이다. 국내 탄산음료 마니아들 사이에서도 꾸준한 인기를 끌며 사랑받아 왔으며 이에 보답하기 위해 올해 한국 진출 10주년을 맞이하여 캐릭터 IP개발 및 다양한 브랜드 마케팅을 본격화했다.
특히 이번 카카오 이모티콘은 지난 4월 1차 이모티콘 배포 당시 큰 호응을 얻은 캐릭터 ‘번디’를 활용한 것이다. 호주의 상징적인 동물인 쿼카를 모티브로 제작된 번디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동물’이라는 별명처럼 밝고 긍정적인 이미지가 분다버그의 정체성과 적합한 캐릭터로 평가된다.
이번 이모티콘은 선 베드에 누워 음료를 마시거나, 에어컨이 나오는 시원한 실내에서 수박을 먹는 등 여름의 무더운 날씨와 바캉스 무드를 담은 것이 특징이다.
분다버그의 한국 공식 수입사인 인터비앤에프 측은 “브랜드의 한국 론칭 10주년을 기념해 처음으로 선보인 캐릭터 ‘번디’를 통해 소비자와 보다 감성적인 소통을 이어가고 싶었다”며 “소비자들의 여름 일상에 작은 즐거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코글플래닛 관계자는 “브랜드 IP가 고객의 일상 속 감정 콘텐츠로 녹아들 때, 비로소 지속적인 호감과 충성도가 만들어진다”며 “분다버그가 전달하고자 하는 즐거움과 긍정의 메시지를 번디 캐릭터와 이모티콘을 통해 정교하게 구현했다”고 전했다.
분다버그의 브랜드 이모티콘은 이날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분다버그 코리아’를 통해 배포될 예정이다. 이모티콘 배포 외에도 캐릭터 ‘번디’를 활용한 전용잔 세트와 장바구니 등 MD 제품이 순차적으로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분다버그 코리아의 캐릭터와 카카오 브랜드 이모티콘 제작 및 광고대행을 맡은 코글플래닛은 2019~25년 카카오 지정 제작 협력 대행사로 선정됐다. 국내 대기업 및 관공서의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특히 캐릭터, 카카오 이모티콘, 웹툰, 모바일 테마 등의 사업에서 활발한 비즈니스 활동을 전개 중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이모티콘 콘텐츠를 확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혁신적인 콘텐츠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킹콩소프트, 방치형 RPG ‘용칼이 키우기: 용가리알 무한지급’ 출시
- 제약바이오협회, 보험약제 정책·등재 전략 등 공유
- 정부 "SKT 위약금 면제해야…허술한 서버관리 등 과실"
- 진에어, 기내 판매 서비스 ‘지니스토어’ 개편
- 신연화 SRC 대표, 중소기업인대회 중기부장관 표창 수상
- ESR, 비상장 전환 완료..."경영 리더십 강화"
- 전문건설업계, 고령화 해결 위해 청년 인재 육성 및 외국 인력 전략 강화
- 동국제약, ‘DKMA 부산 심포지엄’ 개최
- 쿠팡 "테크 유니콘 만들어요"…AI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 협력
- "극장서 야구봐요"…CGV, ‘2025 KBO 올스타전’ 생중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신한은행, 한국서비스품질지수12년 연속 은행부문 1위 수상
- 2킹콩소프트, 방치형 RPG ‘용칼이 키우기: 용가리알 무한지급’ 출시
- 3제약바이오협회, 보험약가교육 진행…보험약제 정책·등재 전략 공유
- 4평군, UN군이 막아낸 곳에 '안보공원' 세운다
- 5경기 북부 미군 공여지 개발, 이재명 대통령 '속도전' 예고
- 6장흥군, 새 정부 발맞춰 1조3000여억 원 규모 미래비전사업 추진
- 7한국수출입은행
- 8제약바이오협회, 보험약제 정책·등재 전략 등 공유
- 9KB국민은행, '퍼핀' 앱에 ‘자녀 계좌 개설 서비스’ 오픈
- 10정부 "SKT 위약금 면제해야…허술한 서버관리 등 과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