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 본격화

영남 입력 2025-07-10 17:12:46 수정 2025-07-10 17:12:46 김정옥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예타 통과로 최종 확정…부울경 1시간 생활권 광역 교통망 구축

박형준 부산시장이 10일 오후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부산시]

[서울경제TV 부산=김정옥 기자] 부울경 3개 시·도가 국토교통부와 함께 추진한 광역철도 사업이 10일 국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며 최종 확정되면서 '부산~양산~울산'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건설 사업이 본격화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날 오후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 결과,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됐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부울경을 1시간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철도 기반의 안정적인 광역 교통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며 "이번 결과가 그동안 부산시, 울산시, 경남도가 함께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고 자평했다.

지난해 6월 박형준 부산시장은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조기 구축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에 전달했다.

또 지난 6월 개최된 재정사업평가 분과위원회에서 3개 시·도는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단일노선으로써 3개 시를 연결하는 기능 외에도 환승을 통해 부산과 경남, 울산으로 연결되는 동남권 전체의 연계성과 동반 상승효과가 기대되는 핵심 노선이며, 부울경 통합경제권 형성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특히 시가 추진 중인 '북부산 노포역 일원 종합개발' 계획과 함께 낙후된 노포역 일원을 부울경 초광역경제권의 새로운 핵심 거점으로 성장·발전시킬 기초가 될 것이다.

이번 광역철도 정거장이 될 노포역은 부산도시철도 1호선, 양산선과 환승을 통해 부산과 경남, 울산을 직접 연결하고, 정관선을 통해 동부산으로 이어져 동해선으로 연결된다.

또 기장군 정관읍 주민의 숙원사업인 도시철도 '정관선'과 월평에서 연계돼 현재 계획 단계인 '정관선' 건설사업에도 탄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부산시는 기대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은 부산 도심, 양산, 울산으로 이동할 수 있어 교통 불편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총연장 47.6㎞(부산 8.9㎞) 규모로, 노포역에서 KTX울산역까지 약 45분(35회/일) 만에 이동 가능하고, 경전철(AGT-철제차륜) 차량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부울경 핵심축인 부산(노포)~양산(웅상)~울산(KTX울산역)을 총 11개 정거장(부산 2개)으로 연결하며 총사업비는 약 2조 5475억 원가량이 투입된다.

부산도시철도 1호선(노포역), 정관선, 양산선, 울산 1호선 등 단절된 4개의 도시철도와 직접 연계된다.

올해 안에 국토교통부가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을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본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국가철도공단, 중앙부처와 지자체, 그리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측량 및 지반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재해영향성검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노선과 역사 위치 등이 결정된다.

이후 총사업비를 기재부와 협의해 최종 확정하며, 기본 및 실시설계를 거쳐 착공한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노포역 일대를 활성화하고, 금정구와 기장을 비롯한 동북부 일대 주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며, 양산과 울산으로 향하는 부산 전역 시민들의 출퇴근과 통학, 이동을 편리하게 만들 것"이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울산시, 경남도와 힘을 합쳐 사업이 조기 착공, 개통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번 광역철도는 부산 전체의 발전을 앞당기는 것은 물론, 지역산업과 물류, 주거지 간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활성화해 지방 균형발전을 견인할 것이며, 부산을 중심으로 한 국가 남부권이 수도권에 대응하는 새로운 국가 성장축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kjo57100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정옥 기자

kjo571003@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