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 너무 컸나"…세제안 실망에 증시 급락 전환
금융·증권
입력 2025-08-01 17:36:36
수정 2025-08-01 18:32:23
김효진 기자
0개
[앵커]
새 정부의 첫 세제개편안이 발표되자 승승장구하던 증시가 급락세로 돌아섰습니다.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과 배당소득 분리과세율 등에 대한 실망감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오늘(1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3.88% 하락한 3119.41로 장을 마쳤습니다. 장 시작부터 3%이상 급락하며 3200선 아래로 주저앉았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4.03% 급락하며 지난 6월 13일 이후 35거래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코스피가 갑작스럽게 급락세로 돌아선 이유는 새로운 세제개편안에 대한 실망감 때문. 어제(31일) 발표된 세제개편안에는 예상보다 높은 배당소득 분리과세율과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강화에 대한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새로운 배당소득 분리과세안에 따르면 고배당 기업으로부터 배당소득을 받았을 때, 연 배당소득이 2000만원 이하면 14%, 2000만원에서 3억원이면 20%, 3억원 초과 시에는 35%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고배당 기업으로 분류되기 위해선 배당 성향이 40% 이상이거나 배당 성향이 25% 이상이면서 직전 3년 대비 5% 이상 배당을 늘린 상장법인이어야 합니다.
세제실은 현재 국내 상장사 2500여곳 가운데 약 350여곳이 고배당 기업에 해당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당초 배당소득 분리과세에 대한 논의안이 나왔을 때, 배당소득금액과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15.4%의 원천징수만 하자는 방안이 논의 돼왔습니다.
하지만 확정된 배당소득 분리과세안에 따르면 3억원 이상에는 여전히 높은 세율이 적용돼 기업들의 배당 확대 효과는 적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배당 기업으로 분류되기 위해선 배당성향을 늘려야 하지만, 지배주주 입장에선 개편된 세율이 배당을 대폭 늘릴 만큼 구미가 당기진 않기 때문.
금융투자업계에선 “지배주주입장에서는 기존 45%에서 35%로 배당소득세가 10%정도 인하된 거지만 시장에서 기대했던 만큼 큰 폭은 아니기 때문에 기업들이 배당을 확대할 강력한 유인은 되지 못할 것”이라며 “실망 매물들이 많이 쏟아질 수 밖에 없다”고 해석했습니다.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부과 기준도 강화됩니다. 상장주식 양도소득세는 대주주에만 부과되는데, 대주주 기준이 50억원에서 10억원으로 강화됐습니다. 종목당 10억원을 보유하면 대주주에 해당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금융투자업계에선 “대주주 요건을 피하기 위해 연말 매도 물량이 늘어나며 주식 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자사주 소각 회피형’ EB 발행 급증에 금감원 제동
- 자본비율 방어 나선 은행권…하반기도 부실채권 매각 속도
- [부고] 임규준(전 흥국화재 대표)씨 장인상
- [인사] 미래에셋그룹
- 뱅크샐러드, 카드 혜택 상위 1% 고객 데이터 공개…1위 고객 피킹률 7.85%
- KB국민카드, 걷기 좋은 가을 단풍 명산 주변상권 분석
- 교보생명, '고객패널' 제도로 건강보험 혁신…비급여 강화
- 수수료 '완전 제로' 메리츠증권, Super365 예탁자산 15조원 돌파
- NH투자증권, 경남 함양군에 냉장고 40대 전달
- 흥국생명, 어르신 대상 '보이스피싱 예방교육'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준희 아이넷방송 회장, ‘장영실 국제과학문화상 시상식’서 장영실 과학 AI부문상 수상
- 2이천시, 민·관·군 협력…"지역 정착형 일자리 모델 구축"
- 3김보라 안성시장 '화성-안성 고속도로 본격 추진'
- 4오산시, 자치법규 이해도 높여 '행정신뢰 강화'
- 5의정부시, ‘세계청년혁신포럼 2025’…글로벌 청년혁신 허브 선언
- 6'낙동강 오염' 영풍 석포제련소 장형진 고문 형사고발 사건 수사 개시
- 7인천교통공사, 장애인콜택시 사고 예방 장치 시범 적용
- 8경기도, 양주서 ‘장애인 기회소득’ 특별전 개최
- 9인천 연수구, 공동주택 관리 책임자 법정 교육
- 10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5, 디자인으로 사회 변화 대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