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의료기기 앞세운 'K바이오', 중동 진출 속도

경제·산업 입력 2025-08-05 09:02:59 수정 2025-08-05 09:02:59 오동건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대웅제약]


[서울경제TV=오동건 인턴기자]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중동 시장 진출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중동 국가들이 의료 등 서비스 산업 확대에 나서면서, 진출 열기는 국내 의료 AI 기업들로도 확산되고 있다.
 
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보툴렉스'(Botulax) 출시를 위한 품목 허가를 기다리고 있다. 증권업계는 3분기 사우디 톡신 허가 일정도 있어 신규 국가의 톡신 수출량도 증가할 예정이라고 전망했다.

휴젤은 2023년 현지 유통회사인 메디카그룹을 통해 걸프협력회의(GCC) 국가인 쿠웨이트에 진출했다. 지난 5월엔 아랍에미리트(UAE)에 출시했고 중동 최대 시장인 사우디 진출을 꾀하고 있다.

2023년 사우디에 진출한 메디톡스는 국내 최초로 UAE 두바이에 보톨리눔 톡신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작년 5월 테콤그룹 산하 두바이사이언스파크와 톡신 제제 생산 시설 설립에 관한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하고 최종 계약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대웅제약은 2022년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의 UAE와 튀르키예 진출을 시작으로 사우디, 카타르, 쿠웨이트까지 5개국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오만을 포함해 GCC 국가 전체로 확장할 계획이다.

종근당바이오는 '티엠버스주'의 중동 시장 진출을 위해 올해 5월 전세계 보툴리눔 톡신 제제로는 최초로 인도네시아 할랄제품보증청(BPJPH)으로부터 할랄 인증을 획득했다. 종근당바이오 측은 중동에서 아프리카까지 이슬람 시장이 매우 크다며 광범위한 글로벌 시장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료 AI 기업들도 중동 시장 개척을 서두르고 있다. 뷰노는 지난달 이집트 헬스케어 전문 기업과 중동 4개국(이집트,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내 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딥카스' 판매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고 중동 인허가 등록 작업에 착수했다.

루닛은 지난 6월 개최된 이슬람 최대 종교행사 '하지(Hajj)' 성지순례 기간 공식 의료 파트너로서 AI 기반 의료 검진 지원 사업을 진행했다. 사우디 정부로부터 파트너로 선정된 루닛은 흉부 엑스레이 AI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을 공급했다. 이를 통해 결핵, 폐렴,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등 감염성 호흡기 질환의 신속 검진을 지원했다.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중동 진출에 열을 올리는 것은 석유 수출에 의존하던 현지 국가들이 성장 분야 다각화에 나서면서 의료 분야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중동 및 아프리카 제약 시장 규모가 2030년 424억달러로 연평균 6.1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제약 및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탈석유에 나서는 중동 국가들이 의료관광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라며 "중동 지역 환자를 유치하기 위해 AI 등 선진 기술을 도입하고 있어 국내 기업 진출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oh19982001@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