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풍 부는 SI업계…‘AX’ 바람 타고 실적 ‘껑충’

경제·산업 입력 2025-08-19 18:41:33 수정 2025-08-19 18:41:33 이수빈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국내 시스템 통합(SI) 업체들이 인공지능 전환(AX) 수요를 바탕으로 빠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공공과 금융, 제조 등 전 산업으로 디지털 전환이 확산하며 업계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반 상승하고 있는데요. 기업들의 인공지능(AI) 활용이 본격화되면서, 당분간 업계 호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국내 주요 SI 업체들이 상반기 호실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AX 수요가 실적을 끌어올리며 주요 4개사의 영업이익은 최대 30% 이상 급증했습니다. 

삼성SDS는 올해 상반기 매출 7조17억 원, 영업이익 4897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과 비교해 각각 5.8%, 11.6% 증가한 겁니다.
자체 AI 플랫폼 ‘패브릭스’를 통해 이용자 수를 빠르게 확보하고, 행정안전부 차세대 업무관리 사업 등 대형 공공 프로젝트를 수주한 덕입니다.

LG CNS의 상반기 매출은 2조6715억 원, 영업이익 2197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각각 6%, 29.2% 늘었습니다.
농협, 신한 등 국내 금융권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한 데 이어, 인도네시아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따내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현대오토에버는 스마트팩토리와 클라우드 통합 전략을 앞세워 전년과 비교해 영업이익이 9% 증가했습니다.
SK AX 역시 산업 맞춤형 AI 모델을 내세우며 영업이익이 32% 성장했습니다.

이 같은 SI 업계의 호황은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수요 때문.
현재 대부분의 국내 기업들은 AI 도입을 원하고 있지만 아직 실제 활용 단계까지 이르지 못한 상황입니다.
대한상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78% 가량이 AI 도입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실제 활용은 30%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업계에선 지금이 기회라고 보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AX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데다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정책적 지원도 확대되고 있어 향후 SI 업체들의 일감이 꾸준히 이어질 거라는 전망입니다.

정부가 대기업 SI업체들의 공공사업 참여 기회를 열어준 점 역시 호재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지난 2월 공공 프로젝트에서 대기업 참여 제한을 일부 완화했습니다.

AI 활용 능력이 기업 경쟁력으로 자리 잡으면서, SI업계의 성장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 /q00006@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수빈 기자

q00006@naver.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