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AI 네이티브 비전 공개…"AI는 기능 아닌 운영체계"

경제·산업 입력 2025-09-07 10:15:30 수정 2025-09-07 10:15:30 강지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기술 도메인 전문성·AI 협업 마인드 가진 인재 찾아"

[사진=서울경제TV DB]


[서울경제TV=강지영 인턴기자] 인공지능(AI)의 출현으로 초급 개발자 고용 불안이 현실화하는 가운데, 창사 이래 첫 공채에 나선 카카오가 구체적인 'AI 네이티브' 비전을 공개했다.

7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정규돈 카카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최근 'AI 시대를 살아갈 개발자들에게'라는 제목의 카카오 테크 블로그 게시글에서 "LLM(거대언어모델)을 처음부터 개발하는 모델 경쟁은 이미 다른 차원의 이야기가 됐다"며 "이는 국가 차원의 총력전 양상을 띠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정 CTO는 "이처럼 거대한 장벽 앞에서 관점을 바꾸면 새로운 길이 보인다. AI를 단순히 기능이 아니라 운영체제(OS)처럼 활용해야 한다"며 "질문은 'OS를 어떻게 만들까'가 아니라 '이 OS 위에서 무엇을 만들 것인가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대형언어모델(LLM) 모델 경쟁이 아닌 강력한 모델들을 OS로 활용, 서비스나 데이터에 맞게 개인화하는 역량이 중요하다는 뜻으로 카카오의 '오케스트레이션' 전략과 맞닿은 말이다.

그는 "AI 시대에 주니어 개발자는 필요없는 것 아닌가라는 질문을 AI 시대에 준비된 개발자는 누구이며, 어떻게 그들을 찾아낼 것인가로 바꿔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코딩 테스트 문제풀이 능력만으로 인재를 판단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AI툴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본 경험이 있는 주니어를 찾아야 한다. 우리가 찾아야 할 인재는 기술 도메인 전문성과 AI 협업 마인드를 가진 균형감있는 사람"이라고 규정했다.

개발 생산성 혁신과 관련해 정 CTO는 '바이브 코딩' 개념을 소개하기도 했다. 바이브 코딩은 AI와 대화하며 기획, 설계, 개발의 흐름을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1명의 개발자가 AI와 협업해 일주일 만에 앱 프로토타입을 완성한 사례가 있었다.

정 CTO는 바이브 코딩의 생산성을 실험한 결과 평균 50%, 최대 100%의 생산성 향상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AI툴 구독을 지원한 '마일리지 파일럿 프로그램'을 언급, "파일럿 프로그램은 AI의 도움을 받는 것에서 AI에 일을 맡기는 것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변곡점이 됐다"며 "AI 네이티브 전환의 핵심은 기업의 전략 접근과 직원의 자율성에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jiyo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