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음하는 여성,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 3.7배 높아"
건강·생활
입력 2025-09-10 15:34:40
수정 2025-09-10 15:34:40
이금숙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술을 많이 마시는 여성일수록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교 성빈센트병원 정형외과 주민욱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09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세 이상 성인 남녀 393만 7745명을 2020년 12월까지 추적 관찰하여 음주와 연부조직 육종 발생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주민욱 교수팀은 평균 및 1회 음주량 등을 기준으로 음주와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과의 관계를 들여다봤다.
그 결과, 하루 평균 4잔 미만(에탄올 30g 미만) 및 4잔 이상(에탄올 30g 이상)으로 술을 마시는 여성은 술을 마시지 않는 여성에 비해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이 각각 1.51배 및 2.48배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1회 음주량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한 번에 3~4잔의 술을 마시는 여성은 연부조직 육종 발생이 1.35배, 5~7잔을 마시는 경우 1.73배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한 번에 14잔 이상 폭음하는 여성의 경우에는 발생률이 3.7배 높아져, 1회 음주량이 많아질수록 연부조직 육종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에서는 음주와 연부조직 육종 발생 간의 연관성을 발견하지 못했는데, 연구팀은 성별에 따른 해부생리학적 특성으로 인한 대사적 차이가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았다. 더불어, 국내에서 특히 여성의 고위험 음주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절주의 필요성을 제언했다. 다만, 음주와 육종 발생의 관련성은 여성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음주의 해로운 영향에 취약한 모든 인구 집단이 주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주민욱 교수는 “음주가 여러 질병의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연부조직 육종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근거는 부족했다”며 “이번 연구는 그 연관성을 밝히고, 음주의 위해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이에 대한 정책적 개입 및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화두를 던졌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정형외과 분야 최상위 학술지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2025년 9월호에 특집 논문으로 선정됐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경희대병원 이정희 교수팀, 척추변형 교정의 ‘새 수술법’ 제시
- HK이노엔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케이캡' 복용…위장관 출혈 위험 낮춰"
- 이대목동병원, 이뮤니크와 업무협약 체결
- 강서K병원, ‘런서울런 2025’ 의료지원
-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언제 수술해야 할까?
- 강동경희대병원, 부정맥클리닉 개소…약물부터 최첨단 시술까지 가능
- 폐암 재발 위험 '인공지능'으로 1년 앞서 예측한다
- 폐암약 ‘렉라자’, ‘타그리소’와 승부…약값이냐 내성이냐
- 기생충 감염이 옛말? ‘희귀 감염’은 오히려 사례 늘어
- 서울대병원 “미토콘드리아 펩타이드로 당뇨병 진행 늦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