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FR 변이 폐암에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요법…3년 생존율 60%"
건강·생활
입력 2025-09-16 14:32:04
수정 2025-09-16 14:32:04
이금숙 기자
0개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조병철 교수팀 연구, NEJM에 발표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EGFR 돌연변이 폐암 1차 치료로 사용하는 병용 요법이 기존 표적치료제보다 전체생존기간을 개선시킨다는 3상 결과가 나왔다.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조병철 교수<사진> 연구팀은 치료력이 없는 EGFR 돌연변이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다국가, 무작위 배정 3상 연구에서 아미반타맙(제품명:리브리반트)과 레이저티닙(제품명:렉라자) 병용 요법이 기존 표준치료제 오시머티닙(제품명:타그리소)보다 25% 사망위험을 줄인다고 16일에 밝혔다.
EGFR 돌연변이 폐암은 전체 폐암 25~40%를 차지하며 전세계적으로 매년 45만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할 정도로 폐암의 가장 흔한 종류다. 그동안 1차 치료제로 사용하는 오시머티닙은 반응률 80%와 무진행생존기간 16~18개월을 보였다. 이후 환자 대부분이 내성을 갖는다.
조병철 교수는 이전 1, 2상에서 병용 요법 효과를 확인한 만큼 이번에는 다국가, 무작위 배정 3상을 이어갔다. 병용 요법에 사용한 아미반타맙은 진행성 EGFR 돌연변이 폐암 약제로, 레이저티닙은 EGFR 유전자의 특정 부위 엑손20에서 발생한 돌연변이 폐암 약제로 식약처 승인을 각각 받았다. 또 병용 요법은 조병철 교수가 이전에 밝힌 오시머티닙 대비 무진행생존기간 증가 효과로 지난해 8월 미국 FDA 승인을 받았다.
병용 요법 환자 429명의 3년 생존율은 60%로 오시머티닙 치료군에 비해 9% 향상했다. 37.8개월의 관찰기간 동안, 아미반타맙과 레이저티닙 병용 치료군의 전체생존기간의 중앙값은 관찰기간을 넘어선 것에 반해 오시머티닙 치료군은 36.7개월을 기록했다.
뇌전이를 동반한 환자군에서도 병용 치료가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또 병용 요법의 주요 부작용은 피부 발진과 손발톱 주위 염증 등으로 대부분 조절 가능한 미비한 반응이었다.
조병철 교수는 “지난해 무진행생존기간 개선에 이어 이번에 전체생존율 개선까지 입증함으로써, 아미반타맙과 레이저티닙 병용 요법이 진행성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갖는 명확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며 “이번 NEJM 발표를 통해 항암화학요법을 뛰어넘어 다음 세대 표적치료제를 사용하는 무화학요법(first-line chemotherapy-free) 치료 전략이 새로운 표준치료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실렸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영아에게 치명적인 ‘RSV’…예방 항체주사 접종 시작
- 서울성모병원, 환자 중심 의료 AI 플랫폼 ‘닥터앤서 3.0’ 운영 주관
- 명절 후유증 걱정된다면? 평소보다 30% 덜 먹고, 더 움직이기
-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청력 보호에 ‘집중력’ 높여
- 손가락 붙은 채 태어난 필리핀 교사, 강남세브란스병원서 초청 치료
- 뚱뚱男 점점 많아져…절반이 '비만 상태'
- 고려대안산병원 배재현 교수, ‘로봇 방광질루 공기주입술’ 생중계…8개국에 노하우 전수
- 자생한방병원, 100억 비자금 조성 사실무근…법적 대응 예고
- 50억 기부금으로...세브란스병원, ‘민윤기치료센터’ 오픈
- 악성도 높은 담도암…진행 늦추는 항암요법 확인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위상 의원 “2년 새 갑절 뛴 수입 멸종위기종, 보존 의무 환경부조차 몰라”
- 2김승수 의원 “2020년부터 국가유산청 해킹 시도 약 3만 6천 건…국가 정보 위기 상황, 각별한 보안대책 마련 필요”
- 3김위상 의원 “임금체불 피해 커지는데...사법처리는 4건 중 1건뿐”
- 4차규근 의원 “기재부, NXC 물납주식서 128억 원 배당금 받았다”
- 5김위상 의원 “폭행 산재 승인 5년 새 73% 급증…지난해 733명 ‘역대 최다’”
- 6차규근 의원 “최근 5년새 미술거래시장 규모 1.6배 증가, 반면 과세 비율은 절반으로 줄어”
- 7北 김정은, 라오스 시술릿 주석과 회담…'친선협력 강화' 강조
- 8비트코인, 상승세 멈추고 4000달러 급락…'과열 조정' 진입
- 9한국 내년 4월부터 '세계국채지수' 편입…75조원 유입 기대
- 1015억 초과 거래 다시 늘었다…비강남 한강벨트 '갭투자' 몰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