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노동안전 대책에…건설업계 “공급 위축 우려”
경제·산업
입력 2025-09-18 18:08:06
수정 2025-09-18 18:15:53
이지영 기자
0개
[앵커]
정부가 건설현장의 산재 사고를 막기 위해 강도 높은 노동 안전대책을 내놨습니다. 건설업계는 인명사고를 막자는 덴 공감하지만 제재만 하는 방식으론 오히려 기업의 경영활동을 위축시켜 정부의 공급 대책에도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지영 기잡니다.
[기자]
정부가 건설현장 내 산재사고를 막기 위해 건설사 등록 말소까지 포함한 대책을 내놓자, 건설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최근 사망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건설사에 대해 아예 등록을 말소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3년간 영업정지 처분을 두 차례 받은 후 다시 사고가 발생하면 면허를 취소할 수 있도록 했고, 등록이 취소되면 모든 영업활동이 중단됩니다.
건설사 영업정지 요청 요건도 현행 ‘동시 2명 이상 사망’에서 ‘연간 다수 사망’으로 확대하고, 연간 3명 이상 산재 사망사고가 발생하면 영업이익의 5% 이내의 과징금을 내야 합니다.
또 중대재해가 발생한 건설사에 대해선 선분양 제한까지 검토되고 있습니다.
선분양이 막히면 건설사는 수백억에서 수천억 원에 달하는 아파트 공사비를 분양대금으로 조달할 수 없어 사업 추진이 사실상 불가능해 집니다.
업계에선 취지엔 공감한다면서도 건설 산업 전반이 위축될 거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습니다.
[싱크] 건설업계 관계자
“(과징금, 영업정지, 입찰 제한 등) 제재에 대한 수치와 기준은 명확히 제시된 반면에 적정 공사비를 포함한 제도 개선은 포괄적으로만 나와 있어서, 제재에만 초점이 맞춰진 정책으로 보여…건설업계 경영활동의 위축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여기에 외국인 근로자 고용 제한 등 인력 수급 문제로 공사 지연까지 겹치면 정부가 내세운 주택 공급 확대 기조와도 충돌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정부의 강도 높은 노동안전 대책이 현장 안전을 지키는 해법이 될지, 공급 위축이라는 또 다른 문제를 낳을지 촉각이 모이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재용 회장, 인도 재벌 암바니와 회동…전방위 협력 확대
- GC녹십자웰빙, 간 질환 치료 위한 ‘라이넥주’ 좌담회 개최
- 삼성바이오로직스, 최연소 여성 임원 탄생… 바이오로직스·에피스 총 12명 승진
- ‘LS그룹 3세’ 구동휘 사장 승진…‘조직 안정’ 인사
- K-원전 ‘중동 넘어 유럽’…튀르키예 30兆 시장 열렸다
- “배달앱 가격은 점주마음”…교촌치킨 ‘난감’
- 전기차 20만대 시대…제네시스·BMW 등 신차 ‘봇물’
- 삼성전기 장덕현, ‘그릿 리더십’…‘1조 클럽’ 청신호
- 제네릭 약가 인하에 업계 반발…“R&D 타격 불가피”
- 삼성전자, 5년만 임원인사 확대…AI·로봇 인재 중용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iM뱅크(아이엠뱅크), 금융박물관 누적 관람객 10만명 돌파 기념 이벤트 실시
- 2대구지방환경청, 인화성·폭발성 유해화학물질 대량 취급사업장 특별 현장점검 실시
- 3경산교육지원청, 전남 고흥청과 교육 교류 워크숍 개최
- 4도시철도 무임수송 국비 지원, 국민 청원 5만 명 돌파
- 5영남대 재경총동창회, 제12회 천마 취업동문 환영회 개최
- 6"골목이 살아야 도시가 산다’". . .포항시, 시민 공감 포럼서 활성화 해법 모색
- 7포항시, KIST·RIST·경상북도와 ‘LTI 플랫폼 구축’ 업무협약 체결
- 8김천시, 2025년 내고장 TOP기업 ‘㈜조흥GF’ 선정
- 9감천초등학교, 학습지원대상학생 유리 전사 공예 진로체험 실시
- 10포항시, 유럽 최대 규모 MICE 박람회 참가…글로벌 마이스 시장 정조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