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염식·저단백식·저지방식, 신장 회복 땐 오히려 악영향
건강·생활
입력 2025-09-24 11:22:23
수정 2025-09-24 11:22:23
이금숙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신장이 나빠진 사람들은 신장에 부담을 주지 않으려 저염식, 저단백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신장 회복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신장내과 장혜련·전준석·이경호 교수 연구팀이 허혈성 급성 신손상(ischemic acute kidney injury) 후 회복기 식이 조절과 회복 연관성을 동물 및 세포 모델로 분석했다.
이경호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급성 신손상 환자들의 경우 회복기에도 염분과 단백질 등을 지나치게 제한하는 경우가 있다”면서 “이런 경우 정말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지 알기 위해 시작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양쪽 또는 한쪽 신장이 손상된 생쥐모델을 이용해 △고염식과 저염식 △고단백식과 저단백식 △고지방식과 저지방식 등 다양한 조합의 식이요법이 회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비교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저염·저단백·저지방 식단이 신장 회복에 도움을 주는 건 아니었다.
연구에 따르면 양쪽 신장 모두 손상이 있었던 생쥐에게 저염·저단백·저지방 식단을 공급했을 때 TGF-β(티지에프 베타)와 같은 신호물질이 과활성화되어 손상된 신장의 섬유화를 부추겼고, 염증을 유발하기 쉬운 상태로 바뀌었다. 그만큼 신장 회복이 더뎌질 수에 없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는 의미다. 고염·고단백·고지방 식이도 답은 아니었다. 세포실험(HK2)에서 고염·고단백에 노출될 경우 신장 세포의 증식 억제가 확인됐다. 특히 고염식을 섭취한 군은 신세관 손상이 심각했고, 섬유화가 급격히 진행됐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저염, 저단백과 마찬가지로 고염·고단백 식이 역시 신장 회복을 방해하는 요인이었던 셈이다.
전준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급성 신손상 환자의 회복기에서 식이 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며 “향후 맞춤형 식이 가이드라인 수립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장혜련 교수는 “식이요법은 환자가 직접 조절 가능한 비약물 치료 전략”이라며 “막연한 방법보다 회복기의 신장 기능 상태에 맞게 세밀하게 설계된 맞춤형 영양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세포 및 발달 생물학 분야 국제 학술지(Frontiers in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최근호에 발표됐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노경태 이대서울병원 교수, 단일공 로봇 대장수술 300례 달성
- 서울대병원-네이버, AI로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 예측한다
- 슈퍼주니어 김희철, 서울아산병원에 1억 원 후원
- 자생한방병원 “영유아 교통사고 후유증, 한의치료로 개선”
- "젊은 강직성 척추염 환자, 임신 중 치료 포기 안 해도 된다"
-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자궁경부암 표적 면역치료제 개발
- 잦은 입원·응급실행…중증 천식, 약값 부담에 치료 장벽
- 고려대 의대, 美 예일대와 2025 공동포럼 개최
- 당뇨약, 파킨슨병 진행 막는다
- 중증 천식에 생물학적제제, 효과 좋지만…"연 800만 원 약제비 부담"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T 소액결제 해킹, 펨토셀로 암호 해제 가능…‘도청 우려’ 확산
- 2서울 아파트 3채 중 1채는 30대 손에…‘영끌 매수’ 다시 확산
- 3정년 연장 논의 본격화…‘청년 일자리’ 고용시장 파장 촉각
- 4서울 시내버스 노조, 수능 당일까지 파업 철회…13일 추가 교섭
- 5美 셧다운 39일째…트럼프 '필리버스터 폐지' 압박
- 6롯데, '제10회 슈퍼블루마라톤' 성료
- 7쿠팡, ‘쿠패세’ 개최…인기 패션 상품 특가에 선보인다
- 8현대백화점, 친환경 캠페인 ‘365 리사이클 캠페인’ 진행
- 9CJ제일제당 '퀴진케이', tvN '폭군의 셰프' 스페셜 팝업 성료
- 10스타벅스, '소방의 날' 맞아 소방공무원 1000명에게 커피 전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