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자금조달 흥행 랠리…성장 발판 다져
금융·증권
입력 2025-09-24 18:42:30
수정 2025-09-24 18:42:30
이연아 기자
0개

우리금융지주가 채권 발행마다 흥행을 이어가며 시장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증권·보험사 인수로 종합금융그룹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불거진 단기 자본 부담 우려를 해소하며, 시장에서는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7일 우리금융그룹 자회사인 NPL 투자전문회사 우리금융F&I가 회사채 1500억원 모집에 나서 1조3360억원의 기관 주문을 받으며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우리금융F&I는 결국 발행 규모를 3000억원으로 2배 증액하며 완판을 기록했습니다. 만기별 개별민평 대비 –20~–50bp 낮은 금리로 조달해 시장 신뢰를 입증했다는 평가입니다.
올해 4~5월에는 우리금융지주가 신종자본증권 발행에서 2700억원 모집에 7940억원 주문을 확보해 최종 4000억원의 증액 발행에 성공했고, 다음 달에도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검토 중입니다.
현재 우리금융은 증권사와 보험사 인수 과정에서 시장에서 제기됐던 자본 부담 우려를 완전히 해소한 모습입니다.
지난해 우리금융은 증권업 재진출을 위해 한국포스증권 지분 97.1%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약 562억원을 투입했고, 영업권을 151억원으로 계상했습니다.
이어 올해 보험사 인수에서는 동양생명(75.34%)에 1조2840억원, ABL생명(100%)에 2654억원 등 총 1조5493억원을 지불했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보통주자본(CET1)비율 하락과 추가 자본 조달 필요성을 우려했고, 일부 증권사 보고서에서는 보통주자본(CET1)비율이 약 10bp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우리금융은 자본적정성 관리에 총력을 기울였고, 올해 2분기 기준 BIS비율 16.03%, 기본자본비율 14.64%, 보통주자본(CET1)비율 12.76%를 기록하며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 가운데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시장에서는 우리금융의 자본적정성과 재무구조 관리 능력, 신용등급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성장성을 인정 받고 신뢰 강화로 이어졌다는 평가입니다.
현재 우리금융은 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보통주자본(CET1)비율을 보강하고, 회사채 발행을 통해 그룹 차원 단기적 유동성 확보라는 투트랙 전략으로 자본적정성 관리를 하고 있는데, 이같은 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롯데손보 겨냥한 한국금융…몸값·사모펀드 '이중부담’
- 예보, SGI서울보증 매각 본격화…1조 회수 청신호
- AI 기술 접목의 정수…로봇株에 훈풍 분다
- 알펜시아리조트, '프리미엄 복합 리조트' 건축 허가 승인
- 마스턴투자운용, ‘LACP 비전 어워즈’ 금상 수상
- 신한은행, 국내 금융권 최초 글로벌 임팩트 펀드 투자
- 지배구조자문위원회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 합병 찬성”
- 대원미디어, ‘짱구 베이커리 카페’ 잠실서 오픈
- 페스카로, 사이버보안 프로젝트 수주…"특수 모빌리티 사업 확장"
- 오리온이엔씨, 원전 해체·정비·SMR 기술로 글로벌 공략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자생한방병원 특검 정조준 되나…주철현 의원 아들 사건 재조명
- 2기후위기, 농업이 답하다…양평서 친환경농업인 전국대회
- 3인천시, 가족친화 도시 실현 위한 해법 모색
- 4남원시의회, 시정 현안 해결 위한 열띤 제언 쏟아져
- 5고창군, 제19회 전북도민장애인체육대회 선수단 결단식
- 6고창 해리농협 청정 '갯벌 천일염'...대통령 추석 선물세트 구성
- 7"지리산권 교통 개선" 남원시의회, 도로망 확충 결의안 채택
- 8현대차 N·제네시스 출범 10년…‘고성능·럭셔리’ 승부
- 9CJ제일제당, 中 바이오 자회사 매각…‘선택과 집중’
- 10삼성물산, 중대재해 ‘뚝’…건설사 안전문화 확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