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KSBB-AFOB 콘퍼런스 2025서 ‘세포주 개발 전략’ 발표

경제·산업 입력 2025-09-26 10:32:12 수정 2025-09-26 10:32:12 김민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발현 까다로운 단백질 생산 과제 해결 위한 세포주 개발 플랫폼 소개
단일세포 클로닝 통한 안정성 확보 등 최신 장비 활용해 효율 극대화

김용재 GC녹십자 EDD 유닛장이 이달 23일부터 27일까지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진행된 KSBB-AFOB 콘퍼런스 2025에서 '난발현성 단백질을 위한 세포주 개발' 관련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GC녹십자]

[서울경제TV=김민영 인턴기자] GC녹십자는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진행하는 KSBB-AFOB 콘퍼런스 2025에서 ‘난발현성 단백질을 위한 세포주 개발’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고 26일 밝혔다.

KSBB-AFOB 콘퍼런스 2025는 한국생물공학회(KSBB)와 아시아생물공학연합(AFOB)가 공동 주최하는 행사다. 올해는 ‘바이오 제조의 최전선: 지속 가능한 바이오 경제를 형성하다’를 주제로, 전 세계 40여 개국에서 약 3000명의 산·학·연·관 바이오 전문가가 참석했다.

세포주는 신약 개발에 필요한 단백질을 만드는 ‘기본 세포’로, 생산 효율과 안정성이 신약 개발 성패를 좌우한다. 하지만 일부 단백질은 구조가 복잡하고 발현률이 낮아 기존 방식으로는 생산이 어려워 신약 개발의 병목 현상으로 꼽혀왔다.

이번 발표에서 GC녹십자는 발현이 까다로운 단백질의 생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세포주 개발 플랫폼을 소개했다. GC녹십자는 발표에서 단일세포 클로닝을 통한 균질성 및 안정성 확보, 단백질 구조·안정성·기능·활성의 체계적 조기 분석 및 최종 반영 등 최신 자동화 장비 활용을 통한 공정 효율 극대화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했다.

특히 해당 플랫폼을 사용해 개발된 세포주의 장기 배양 안정성 평가와 단백질 발현 시험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발표를 진행한 김용재 GC녹십자 EDD 유닛장은 “난발현성 단백질에 대한 효율적인 세포주 개발은 바이오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의 필수 조건”이라며, “GC녹십자는 세포주 개발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melissa688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