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인도법인, 14일 상장…“글로벌 사우스 공략”
[앵커]
LG전자 인도법인이 오는 14일 인도 증시에 데뷔합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의 개발도상국 등 '글로벌 사우스' 공략의 거점으로 활용될 전망인데요. LG전자는 이번 상장으로 최대 1조8000억원의 자금을 확보하며, 신사업과 주력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래 투자에 나설 전망입니다. 김혜영 기잡니다.
[기자]
LG전자 인도 법인이 14일 인도 증시에 상장합니다.
LG전자가 보유한 인도법인 지분 15%를 시장에 내놓는 구주 매각 방식.
신주 발행 없이 LG전자 본사가 구주매출로 매각 자금을 전액 환수하는 방식입니다.
공모가 범위는 주당 1만7000원(1080루피)에서 1만8000원(1140루피)으로 최대 1조8000억원 안팎의 자금 조달이 예상됩니다.
이 경우 LG전자 인도법인의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12조원.
인도 증시에 상장된 월풀 인도법인(약 2조4000억원)과 볼타스(약 7조2000억원) 등 비교기업 대비 높은 수준입니다.
LG전자는 확보한 자금을 미래 먹거리에 집중 투자한다는 계획.
LG전자는 인공지능(AI), 냉난방공조(HVAC), 로봇 등을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는 만큼 관련 분야의 투자처를 물색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아울러 일부 자금은 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에도 사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인도 증시 상장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의 개발도상국 등으로 불리는 '글로벌 사우스' 공략을 위한 발판이 될 전망.
미중 패권 다툼 속 중국을 대체할 신흥시장으로, 공급망 재편의 핵심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분위깁니다.
여기에 인도 ‘국민 가전 기업’으로 입지도 공고해질 전망입니다.
인도는 14억명의 인구와 높은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주요 가전 보급률은 냉장고 40%, 세탁기 20%, 에어컨 10%에 불과해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hyk@sea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매출 축소에도 수익 개선”…건설사 3분기 실적 ‘활짝’
- ‘코리아패싱’ 논란 SK바이오팜 뇌전증약… “11월 초 허가”
- 지마켓, ‘셀러·고객·AI’ 7000억 투자…재도약 드라이브
- 삼성, 中企·지역과 함께 성장해 온 스마트공장 10주년 맞아
- LG엔솔·스텔란티스 加 합작공장, ‘안전 위반’ 논란
- 앱클론, CAR-T 치료제 ‘네스페셀’ 호주 특허 등록…글로벌 7개국 지적재산권 확보
- ‘SM 주가조작’ 김범수 무죄…카카오, AI·신사업 속도
- KT 김영섭 “사태 수습 후 책임”…위약금 면제 ‘불투명’
- 갤럭시S26, 삼성 ‘엑시노스2600’ 탑재 확정
- 원텍, 자사주 신탁 계약 체결…"책임 경영 실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가을, 경주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 .경주시, ‘2025 황금카니발’ 개최
- 2한국수력원자력, 저선량방사선의 퇴행성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 3대구시,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금 11월 1일부터 접수
- 4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 "대구시 금고 운영… 투명성과 효율성 강화 필요"
- 5이영애 대구사의원, '대구시교육청 올바른 국어 사용 조례안' 대표 발의
- 6대구시의회, 엑스코 사업 분야 확대로 경쟁력 제고 나서
- 7포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블루오션', ‘민간공원 특례사업 초과이익 환수 정책 세미나’ 개최
- 8김진태 지사, 국토교통부 장관 만나 ‘제5차 국가철도망’신규사업 반영 적극 건의
- 9해남군, 솔라시도에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확정 발표만 남아…삼성 SDS 컨소시엄 단독 응모
- 10고창군-서울시 청소년, 문화유산으로 이어진 '우정의 다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