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폐암, '폐 기능' 살리는 정밀 수술 가능

건강·생활 입력 2025-10-13 16:35:06 수정 2025-10-13 16:35:06 이금숙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강동경희대병원]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폐암은 조기 발견하면 생존율이 크게 높아진다. 특히 조기 암일 경우 폐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 수술로, 생존을 넘어서 수술 후 삶의 질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 저선량 흉부 CT 검진이 확대되면서 종양 크기가 2cm 이하인 조기 폐암 발견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거처럼 폐엽 전체를 잘라내는 방식 대신, 정상 폐 조직을 최대한 보존하는 정밀 수술이 새로운 치료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과거 폐암 수술은 광범위 절제로, 기능 보존 어려워
과거 폐암 수술은 ‘암을 얼마나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가’에 집중됐다. 폐엽 전체를 절제하거나, 심한 경우 폐 한쪽 전체를 절제하는 방식이 주로 시행됐다. 그러나 이런 광범위 절제술은 폐 기능을 크게 떨어뜨려 수술 후 호흡곤란과 운동 제한을 초래했다. 그 결과 환자들은 계단 오르기나 가벼운 운동조차 힘들어하며 삶의 질이 크게 저하되는 경우가 많았다. 치료 성과는 얻더라도 환자의 일상 회복에는 한계가 있었다.

◇조기 발견 많아지면서, 폐 기능 보존하는 수술 늘어
저선량 CT 검진이 국가검진에 도입되면서 조기 폐암 발견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종양 크기가 2cm 이하인 초기 단계 암이 잡히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불필요하게 큰 절제를 피하고, 폐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 정밀 수술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게 됐다. 기능 보존 수술은 단순히 생존율을 확보하는 차원을 넘어 환자의 숨쉬기 능력과 생활의 질까지 지켜주는 수술법이다. 

◇폐의 한 ‘구역’만 절제해 기능 최대한 보존 
가장 많이 시행되는 수술은 구역절제술이다. 폐엽을 이루는 작은 단위인 ‘구역’을 기준으로 암이 위치한 구역만 절제하는 방식이다. 전체 엽을 절제하지 않으므로 폐 기능을 5~10% 더 보존할 수 있으며, 특히 2cm 이하 조기 폐암 환자에서 그 효과가 크다. 수술 후에도 환자가 호흡 곤란을 덜 겪고, 일상생활 복귀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강동경희대병원 손종배 흉부외과 교수는 “구역절제술은 단순히 암 제거를 넘어 환자의 호흡 기능과 삶의 질을 지키는 정밀 수술”이라고 설명했다.

◇표준 치료로 자리매김한 구역절제술
구역절제술의 안전성과 효과는 이미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 2cm 이하 조기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에서 구역절제술과 폐엽절제술 간 5년 생존율과 재발률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알려져 있다. 구역절제술이 예후를 해치지 않으면서 폐 기능 보존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연구다. 손종배 교수는 “구역절제술은 더 이상 보조적 수술이 아니라 조기 폐암에서 표준 수술로 자리매김했다”고 강조했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이금숙 기자

ksl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