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신경마비’ 의심…이마 주름 잡아보거나 눈 감아보세요
건강·생활
입력 2025-10-21 17:01:57
수정 2025-10-21 17:01:57
이금숙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최근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면역력 저하와 잦은 혈관 수축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평소와 달리 한쪽 얼굴이 뻣뻣해지거나 눈이 잘 감기지 않고 입이 삐뚤어지는 ‘안면신경마비’가 찾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오성일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의 도움말로 안면신경마비에 대해 알아보자.
안면신경은 표정을 짓거나 입을 벌리고 눈을 깜빡이는 행위 등에 관여하며 눈물샘과 침샘을 조절하고 미각기능에 영향을 주는 등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오성일 교수는 “안면신경마비는 한쪽 얼굴 혹은 아래쪽 얼굴이 마비되는 질환으로 크게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구분한다”며 “약 60명 중 1명꼴로 발생하며, 겨울철뿐만 아니라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도 쉽게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가장 흔한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안면 신경 자체의 염증, 부종, 바이러스 감염, 혈류장애 등과 같은 문제로 발병한다. 한쪽 얼굴 전체가 마비되어 이마에 주름을 잡을 수 없고 입이 돌아가고 눈이 잘 감기지 않는 특징이 있다.
반면, 중추성 안면신경마비는 뇌졸중, 뇌종양 등 뇌 속의 이상에 의해 발생한다. 주로 아래 쪽 얼굴에 마비가 생기며, 이마 주름은 유지되지만 복시, 걸음걸이 이상 등 다른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동반된다.
오성일 교수는 “증상에 기반한 전문 의료진의 신경학적 검사만으로 진단 가능하지만, 환자가 고령이거나 얼굴마비가 양쪽에 발생했다면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이 필요할 수 있다”며 “증상 발현 후 2주 후에 근전도검사를 진행하면 안면신경의 손상정도를 알 수 있어 예후 판단에 도움된다”고 말했다.
안면신경마비의 대표적인 원인에는 ▲대상포진 바이러스(람세이-헌트증후군) ▲뇌졸중, 뇌종양 등에 의한 뇌신경 질환 ▲외상으로 인한 머리뼈 골절 ▲급성·만성 중이염의 합병증 등이 있다.
오성일 교수는 “안면마비 증상이 나타나지만, 검사를 받아도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벨마비(Bell's palsy)를 의심해봐야 한다”며 “벨 마비는 갑자기 발병하는 특징이 있으며, 대표적인 치료법에는 스테로이드와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한 약물 투여와 전기자극요법, 안면운동치료 등의 물리치료가 있다”고 말했다.
벨마비를 포함해 대다수의 안면신경마비는 발병 후 즉시 혹은 수일 이내에 조기 약물투여와 물리치료를 시행한다면 약 80~90% 이상은 발병 전 상태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오성일 교수는 “드물긴 하지만, 안면신경마비의 후유증은 수개월에서 수년 이상으로까지 이어져 대인기피증, 우울증 등 심리적 위축과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며 “신속한 진단과 정확한 치료를 통해 충분히 극복 가능한 질환임을 잊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팔다리 힘 빠지고 시야가 흐릿하다면? 다발성경화증 의심
- ‘뱃 속 시한폭탄’ 복부 대동맥류, 13년간 3배 증가
- 이대목동병원, 호스피스의 날 기념행사 개최
- 힐스펫뉴트리션, 반려인 공감 캠페인 ‘#FurGiveMe 챌린지’ 진행
- "어릴 때 전신마취해도…아이 지능·행동 발달에 영향 없어"
- 혈액종양내과 전문의 74% “암환자 조기 완화의료 필요”
- 항문 지키는 직장암 수술, 장루 없이 빠른 일상 회복 가능
- 인천힘찬종합병원, 김형건 신임 병원장 취임…“새 성장 동력 만들어 갈 것”
- 이대서울병원 김관창·복진산 교수팀, 다빈치 SP 흉선 절제술 효과 입증
- 뼈에 구멍 생기는 골다공증, 소리 없이 찾아와 생명 위협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고창군-서울시 청소년, 문화유산으로 이어진 '우정의 다리'
- 2고창, 3500억 규모 '삼성전자 스마트허브단지' 착공
- 3남원 누리시민 15만 돌파, 스탬프 투어로 지역상권 활력
- 4수성구, ‘제8회 대한민국 주거복지문화 대상’ 혁신상 수상
- 5수성구, 일본인 대상 ‘글로벌 한방스쿨 1기 전문코스’ 성공적 마무리
- 6영덕군, ‘국제H웰니스페스타 2025’ 개최
- 7대구대 디자인예술대학, 2025 교수작품전 개최
- 8계명문화대, 달서구보건소와 RISE 기반 지역 보건의료‧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협약체결
- 9영남대, 중국 사천문화예술대와 음악예술 교육 협력 MOU 체결
- 10경산수학체험센터, 수학 융합 축제 ‘수(數)크램블’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