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3분기 영업익 175.7억…전년比 11%↑
경제·산업
입력 2025-11-06 14:17:52
수정 2025-11-06 14:17:52
이혜연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혜연기자] CJ ENM은 올해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한 175억 7100만 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0.8% 증가한 1조 2456억 원,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한 797억 7800만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엔터테인먼트 사업은 주요 드라마의 시청률 및 화제성 강화, 글로벌 제작·유통 확대, 티빙·엠넷플러스 등 플랫폼 성장 가속화를 통해 수익 구조를 견고히 했으며, 커머스 사업은 모바일·TV·OTT를 아우르는 콘텐츠 IP(지식재산권) 경쟁력과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 확대에 힘입어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했다.
부문별로 보면 미디어플랫폼의 매출은 3198억 원, 영업손실은 33억 원을 기록했다. 티빙은 웨이브와의 시너지를 본격 확대하며 더블이용권, 지상파 라이브 편성, 광고형 요금제 등을 도입해 티빙·웨이브 합산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가 1000만 명(중복 가입자 제외 기준)에 달했다. 지난 3월 출시한 광고형 요금제도 꾸준한 호응을 얻어 전년 동기 대비 광고 매출이 74.7%(1~3분기 누계 기준) 증가했다.
영화드라마 부문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2% 증가한 3729억 원, 영업이익은 68억 원으로 흑자전환했다. 라인업 확장과 해외 유통 강화 전략을 통해 남미·중동 등 신규 시장 매출이 본격화된 영향이다.
음악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1973억 원을 기록했다. 일본 라포네 엔터테인먼트 아티스트 음반 발매와 대형 이벤트 감소, 엠넷플러스 및 신규 아티스트 투자 확대에 따른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19억원을 기록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3557억 원을 기록했으며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성장이 실적을 견인했다. 영업이익은 37.5% 증가한 126억 원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특히 차별화된 콘텐츠 기반의 숏츠 커머스 외부 채널 확대를 통해 3분기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8% 증가했다.
CJ ENM 관계자는 “3분기에는 독보적인 콘텐츠와 플랫폼 경쟁력을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했다”며 “앞으로도 K-콘텐츠 리더십과 제작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미디어사와의 파트너십 등을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고, 플랫폼 사업 고도화로 수익성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CJ ENM은 4분기에도 콘텐츠와 플랫폼 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익성 제고에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한국앤컴퍼니그룹, 글로벌 車부품 전시회 공동 참가
- CJ프레시웨이, 3분기 영업익 336억…전년比 19%↑
- 건설업계, CEO 인사 칼바람?…“교체보다 안정”
- 하이트진로, 성장 제동…국내도 해외도 ‘막막’
- 게임업계, 연쇄 구조조정…“대작 개발 방식 재검토”
- 현대차 무뇨스 “올해 위기 대응력 증명”…‘수익성 강화’ 주력
- 포낙 귓속형 보청기, ‘2025 청각 기술 혁신 어워드’ 수상
- DL이앤씨 3분기 영업익 1168억원…전년 동기比 40.1%↑
- 이재용, 다음주 벤츠 회장과 회동…반도체·배터리 등 협력 논의
- HJ중공업 시공 동서발전 울산현장 붕괴…매몰된 7명 구조 중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앤컴퍼니그룹, 글로벌 車부품 전시회 공동 참가
- 2“제2중앙경찰학교는 남원에”…영·호남 한목소리
- 3CJ프레시웨이, 3분기 영업익 336억…전년比 19%↑
- 4‘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 개막…‘K-농산물’ 수출 효과 높인다
- 5수협은행, 3분기 호실적…신학기 “은행업 넘어 더 큰 금융으로”
- 6건설업계, CEO 인사 칼바람?…“교체보다 안정”
- 7증권사 실적 호조 속 KB·미래에셋證 뒷걸음?
- 8하이트진로, 성장 제동…국내도 해외도 ‘막막’
- 9게임업계, 연쇄 구조조정…“대작 개발 방식 재검토”
- 10현대차 무뇨스 “올해 위기 대응력 증명”…‘수익성 강화’ 주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