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리버리, 유도만능줄기세포 역분화 유도인자군(iCP-RFs) 美 특허 등록 성공

셀리버리는 23일 유도만능줄기세포 역분화 유도인자군(iCP-RFs)의 미국 내 특허 등록이 완료됐다고 공시했다.
미국 특허청은 지난 1년 동안 셀리버리가 바이오신약개발 원천기술인 ‘약리물질 생체 내 전송기술 (TSDT)’을 응용해 개발한 세포투과성 역분화 유도인자(iCP-RFs)의 신규성과 진보성에 대해 심사를 진행해온 바 있다. 회사 관계자는 “특허 등록이 완료된 6종의 줄기세포 역분화 유도인자들은 TSDT 플랫폼기술을 적용해 개발한 재조합 단백질들”이라며 “피부세포와 같은 분화가 끝난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역분화시켜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로 만들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유도인자 단백질들”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 성공한 역분화 유도인자군은 지난 2012년 신야 야마나카 일본 교토대 교수가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할 만큼 획기적인 발견으로 주목받았다. 다만, 바이러스 백터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만드는 방식은 바이러스가 생성된 줄기세포 유전체에 마구잡이로 삽입돼 마우스 실험에서 50% 이상으로 악성종양이 생성되는 등 안전성에 큰 문제가 있어 현재까지도 임상적용이 이뤄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셀리버리가 이를 해결하고자 자체 개발한 세포투과성 역분화 유도인자 단백질 iCP-RFs는 기존의 바이러스를 이용한 유전자 전송법에서 대두됐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임상적용이 가능한 안전성이 확보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생성시킬 수 있는 신개념 치료법이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미국 특허 등록 성공으로 글로벌 제약사에서 환자 체세포를 iCP-RFs를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역분화시켜 줄기세포 연구분야 뿐만 아니라,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iCP-RFs 기술 자체를 라이센싱하기 위해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줄기세포 및 유전자치료 허가 규제가 완화된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법’이 통과된 요즘 추세에 맞물려 사업화에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소연기자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수출입銀 최초 내부 출신 윤희성 행장 이달 퇴임
- 에스오에스랩, 자율주행 전시회 'AME 2025'서 주요 제품 소개
- KS인더스트리 대주주는 동네 학원? 성안에선 'CB 플레이' 논란
- 코스피, 닷새째 오르며 장중 3200 돌파…3년 10개월만
- 네이버페이, 해외QR결제 '럭키드로우' 이벤트 진행
- IBK투자증권 "LG디스플레이 2분기 실적, 예상치 소폭하회 전망"
- '스테이블코인 기대' NHN KCP, 페이코와 시너지 주목
- 새 정부 기조 따라…우리銀, '포용금융 플랫폼' 키운다
- 한은 기준금리 2.5% 동결…"주택 시장 과열 진정시켜야"
- 배당소득 분리과세 이뤄지나…희비 갈리는 증권株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