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로젠, 생체 데이터 암호화 기술 특허 획득
데이터 생성∙전송∙관리∙분석 전 과정에서 암호화 유지...보안성 강화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및 제공방법에 대한 진일보한 개인정보보호 기술
블록체인 기술에 접목, 보다 안전한 유전체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 구축 계획

마크로젠(대표이사 양갑석)이 생체 데이터 암호화 기술에 대한 국내 특허를 획득했다. 이번에 획득한 특허는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에 대한 기술이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개인의 유전형 정보 및 표현형 정보를 암호화하고 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데이터 생성부터 전송, 관리, 분석까지의 전 과정을 암호화된 형태로 유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기존 암호화 기술은 암호화된 데이터를 전달받은 사용자가 직접 원본 데이터로 복구하는 복호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에 반해, 이번 특허 기술은 데이터의 복호화 과정 없이 암호화된 형태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 집단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 정보가 AA, AT, TT라고 했을 때, 각 염기를 00, 01, 11 등의 문자열로 변환해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사용자는 일정한 패턴으로 구성된 문자열을 통해 당뇨병 환자 집단의 특징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차적으로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개인의 신원이나 특정 유전자 변이 등에 대해서는 파악할 수 없다. 모든 데이터가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번 특허의 가장 큰 기술적 차별점은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다. 동일한 인물의 똑같은 생체정보여도 데이터 전송이 이뤄질 때마다 매번 새로운 문자열 조합의 암호화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를 통해, 제3자가 데이터를 확보하더라도 개인정보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요청한 사용자에게도 개인을 식별하거나 유추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을 한층 더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유전체 서열, 변이 정보, 인종, 키, 생활습관 등 대용량의 개인 정보를 특정 문자열의 암호화 데이터로 생성하면서 데이터 용량 및 저장 문제를 해결해 데이터 전송의 편의성을 높였다. 양갑석 마크로젠 대표는 “이번 특허 기술은 개인정보의 보안성과 빅데이터 공유의 편의성을 한층 더 강화한 진일보한 기술이다”며 “마크로젠은 이번 특허 기술을 기존에 확보한 블록체인 기술에 접목해 보다 안전한 유전체 빅데이터 유통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마크로젠은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구축 및 기술적 안정성 확보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는 등 지속적으로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지난 2017년에는 생명정보를 다루는 바이오 기업이 준수해야 하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개인정보보호 체계를 마련해 유전체 분석 업계 최초로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을 획득한바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 의정부 캠프 라과디아, "평화·통일 거점으로 재탄생"
- 2김성제 의왕시장 '이주노동자 맞춰 모국어 안전수칙 배포'
- 3“에이전틱 AI 시대 본격화”…삼성, AI로 새로운 가능성 연다
- 4오너 3세 합류에도…1조 자기자본 힘겨운 LS증권
- 5코인원,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코인 빌리기' 출시
- 6'GA 5위' 굿리치 매물로…보험사 GA 확장 경쟁 불붙나
- 7NC AI, 자체개발 LLM 기술력 인정…독자생존은 과제
- 8은행권, 가계대출 문턱 높여…속도조절론 부응
- 9빗썸, 모바일신분증 민간앱 인증 확대 적용
- 10中企중앙회-쿠팡 '로켓배송'에 홈앤쇼핑 제품 태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