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금손실난 우리·하나은행 DLF, 20%가 최고수익 3%대"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판매해 대규모 손실 논란을 빚고 있는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의 약 20%가 최고수익 연 3%대 상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현재 두 은행이 판매한 DLF는 총 3,535건, 7,626억원어치다. 이 상품들의 최고수익은 연 3% 이상∼4% 미만인 상품이 574건(16.2%), 1,485억원(19.5%) 규모인 것으로 집계됐다. 연 4% 이상∼5% 미만 상품은 2,575건(72.8%), 5,287억원(69.3%) 판매됐다. 최고수익 연 3∼4%대 상품을 합하면 3,149건(89.1%), 6,772억원(89.8%)이었다. 반면 최고수익 5% 이상∼6% 미만 상품은 380건(10.8%), 816억원(10.7%)이었다. 6% 이상 상품은 6건(0.2%), 38억원(0.5%) 수준에 그쳤다.
하나은행은 최고수익 3%대 상품 340건을 판매했으며 금액으로는 전체의 20.7%인 826억원 수준이다. 우리은행은 3%대 상품 234건, 659억원(18.1%)을 팔았다.
김병욱 의원은 "리스크는 고객이 모두 지고 수익률은 연 3%대밖에 되지 않는데 금융사들은 DLF 설계·판매·관리 명목으로 리스크 없이 6개월에 최대 4.93%의 수수료를 챙겼다"며 "구조적으로 투자자에게 불리한 상품"이라고 지적했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미래에셋 박현주재단, '2025년 활동보고서' 발간
- KB국민은행, 조직개편 실시… 포용금융·시니어 서비스 강화 나선다
- 손오공, 한영철 대표 임총서 선임…“사업 경쟁력 강화”
- 우리은행, 삼성카드와 함께 상품출시·공동 마케팅 나선다
- 케이뱅크, K-STABLE로 디지털자산 진출 박차…스테이블코인 상표권 12건 출원
- 신한금융, 10% 이상 가계대출 금리 일괄 인하…7만여 명 대상
- 美 증시, 포트 재편 흐름 속 혼조 마감
- 한화투자證, 비상장사 투자로 IB 활로 모색
- 생보 몸집 키우는 우리금융…농협 제치고 5위로
- 키움증권, 연금저축계좌 개설 고객 미국주식 지급 이벤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GS그룹, AI 기술 협력의 장 열었다…'GenAI 커텍트 데이' 성료
- 2쿠팡, AI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리브랜딩 및 로고 공개
- 3리오랩, SK텔레콤 AI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3기 선정
- 4미래에셋 박현주재단, '2025년 활동보고서' 발간
- 5경기도교육청, 기자실 구조 논쟁..."언론의 자유인가, 특권인가"
- 6부천시, 예산 부족에 65개 사업 중단
- 7명현관 해남군수 "1% 가능성도 도전…농어촌수도 해남 비전 완성해 나갈 것"
- 8글로벌 유아 완구 브랜드 ‘브이텍’ 국내 상륙
- 9한국제약바이오협회, 국민건강 안전망 구축을 위한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방안 토론회 개최
- 10대구대, 몽골 울란바토르에 ‘경북학당’ 개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