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시총, 합병발표 이틀만에 1조5,000억 증가
증권·금융
입력 2015-05-28 08:10:22
수정 2015-05-28 08:10:22
정창신 기자
0개
삼성그룹 계열사의 상장주식 시가총액이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 결정 발표 이후 이틀 새 1조5,000억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7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그룹 계열사 17곳의 시가총액 합계는 330조6,693억400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2일 329조1,001억8,300만원보다 1조5,691억2,100만원(0.48%)이 늘어난 규모다.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1,290조4,921억900만원에서 1,267조4,316억1,400만원으로 1.79% 감소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그룹의 시가총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25.50%에서 26.09%로 0.59%포인트 늘어났다. 이는 미국 금리 인상 우려로 코스피가 뒷걸음질을 한 가운데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 결정 소식에 해당 회사의 주가를 비롯한 삼성 계열사 일부의 주가가 동반 강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재용 부회장 등 오너가의 지분이 높은 제일모직과, 삼성전자를 비롯한 그룹의 핵심 지분을 많이 가진 삼성물산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합병법인의 지주회사 입지가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은 합병 발표 당일 상한가로 치솟는 등 관련 주가가 이틀째 강세를 나타냈다.
이처럼 삼성 계열사의 주가가 동반 상승하면서 시가총액 상위주의 순위도 뒤바뀌었다.
제일모직은 22일 16만3,500원에서 27일 19만500원으로 주가가 16.51% 오르며 아모레퍼시픽과 현대모비스 등을 제치고 시가총액 8위에서 5위로 껑충 뛰었다. 제일모직의 시가총액은 2거래일 만에 22조725억원에서 25조7,175억원으로 3조6,000억원 가량 늘어났다.
삼성물산도 주가가 18.81% 뛰면서 시가총액이 8조6,388억4,200만원에서 10조2,635억700만원으로 증가하며 31위에서 25위로 6계단 상승했다.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 수혜주로 꼽히는 삼성SDS는 이틀 새 주가가 13.58% 오르며 시가총액 비중 12위에서 7위로 올라섰다. 이밖에 호텔신라(63위→58위), 삼성SDI(35위→31위) 등도 순위가 상승했다.
김한이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배구조 개편 이슈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지분 이동이 발생할 때마다 그룹 지주회사 역할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co.kr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롯데손보, 업계 유일 '서핑 보험' 출시
- 덱스터, 일본 제작사 '에피스코프'와 'VFX 제작 프로젝트' 체결
-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출하량 38% 감소…투자의견 하향-IBK
- OK저축은행, 다날과 디지털금융 협력 강화 MOU 체결
- iM증권 "7월 FOMC 금리 동결 예상…'파월 흔들기' 거세질 듯"
- 네이버페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서비스 시작
- 신한銀 상생금융 확대…공공배달앱 가맹 소상공인 200억 금융지원
- 부실과 부실의 만남…코스닥 깜깜이 주인 변경 '주의'
- 은행권 활발해진 공동대출…하반기 지방銀-인뱅 협업 이어진다
- '코인 3법' 美하원 통과…국내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탄력받나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롯데손보, 업계 유일 '서핑 보험' 출시
- 2광주시 "고향사랑기부로 부모님 안부 챙겨요"
- 3덱스터, 일본 제작사 '에피스코프'와 'VFX 제작 프로젝트' 체결
- 4광주시-전남도-화순군-담양군, 무등산권 지질공원 유네스코 재인증 도전
- 5NHN, 대학생게임개발동아리연합회 사옥 초청행사 진행
- 6영남이공대,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 위한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 육성’ 업무협약 체결
- 7포스코퓨처엠, 양극재 출하량 38% 감소…투자의견 하향-IBK
- 8SK바이오사이언스, ‘2025 스카이 비전 심포지엄’ 성료
- 9현대차·기아, ‘2025 레드 닷 어워드’서 11관왕…디자인 경쟁력 인정
- 10경북농업기술원–현대백화점, 프리미엄 농산물 유통 활성화 MOU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