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 새 아파트 전세가율 65% '뚝'… "입주물량 증가 영향"

최근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전셋값이 지난해 이후 내림세를 보이면서 전세가율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부동산정보서비스 직방이 전국 새 아파트(입주 2년 미만) 전세가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17년 71%에서 올해 65%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북 △제주 3개 지역만 70%를 유지 중이다. △부산 △충남 △대구 △광주 등 대부분 지역에서 전세가율이 하락한 모습이다.

주요 지역별 새 아파트 전세가율 변화를 살펴보면 서울은 올해 71%를 기록 중이다. 다만, 면적별로는 전세가율 변화가 달랐다. 전용면적 60㎡ 이하 새 아파트 전세가율은 79%이지만, 전용면적 60㎡ 초과 85㎡ 이하 새 아파트는 55%로 전세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직방 관계자는 “대출 규제가 강화됐고 전세물건이 나가지 않아 잔금을 처리하지 못해 경우에 따라 싸게 전세계약이 체결되면서 중형 새 아파트의 전세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고 말했다.
반면 소형 새 아파트 전세 수요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 전용면적 60㎡ 이하 새 아파트의 매매가격과 전셋값 차이는 지난 2017년 9,963만원에서 올해 6,931만원으로 줄었지만, 전용면적 60㎡ 초과~85㎡이하의 새 아파트는 2억8,391만원에서 5억102만원으로 오히려 격차가 벌어졌다.

경기 지역은 면적과 상관없이 전세가율이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올해 새 아파트 전세가율은 64%다. 전용면적 60㎡이하와 전용면적 60㎡ 초과~85㎡ 이하가 각각 65% 수준이다. 전용면적 85㎡ 초과는 58%로 낮아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이 차지하는 비중이 50%대로 떨어졌다.
인천은 지난 2017년 83%였던 새 아파트 전세가율이 올해 60%까지 하락했다. 송도, 청라, 영종 일대 새 아파트 공급이 증가하면서 전셋값이 낮아진 영향이다. 집값이 크게 오른 광주는 올해 새 아파트 전세가율이 66%를 나타냈다. 지난 2017년(82%)과 비교해 16% 낮아졌다.
직방 관계자는 “특히 잔금 마련 압박을 받는 새 아파트는 집주인이 시세보다 저렴하게 전세를 내놓는 경우도 많아 전세가율 하락은 당분간 불가피해 보인다”며 “지속해서 입주물량이 늘고 있어 전세가율 하락은 연내 계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유민호기자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메나리니, 무좀치료제 ‘풀케어’ 론칭 12주년 기념 패키지
- ”SW 인재 육성”…현대차·기아, ‘소프티어 부트캠프 6기’ 모집
- 광교 아메리칸 스템프렙 국제학교, 신학기 입학설명회
-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위궤양 3상 임상 결과 첫 공개
- 美 약가 인하 행정명령에…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대 기회"
- S-OIL 샤힌 프로젝트, 공정률 69.1% 달성…아람코 모하메드 알 카타니 사장 현장 방문
- 오비맥주 이어 하이트진로도 가격인상…맥주 제품 출고가 2.7% ↑
- 브릿지엠, '하이비타민' 제휴 기업 확대…"고객혜택 강화"
- 브링크, 넥스트스테이지 인수…한국 시장 공식 진출 선언
- 앱티스, 中 켐익스프레스와 차세대 ADC 치료제 개발 MOU 체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메나리니, 무좀치료제 ‘풀케어’ 론칭 12주년 기념 패키지
- 2”SW 인재 육성”…현대차·기아, ‘소프티어 부트캠프 6기’ 모집
- 3케이쓰리아이 “엔비디아 옴니버스 연동 플랫폼 고도화”
- 4벡트, 심플랫폼과 AI 스마트러닝 관련 MOU 체결
- 5광교 아메리칸 스템프렙 국제학교, 신학기 입학설명회
- 6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위궤양 3상 임상 결과 첫 공개
- 7美 약가 인하 행정명령에…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대 기회"
- 8광주 남구, '오월 정신' 기리는 다채로운 행사 개최
- 9S-OIL 샤힌 프로젝트, 공정률 69.1% 달성…아람코 모하메드 알 카타니 사장 현장 방문
- 10현대차·HFR, 성남 오리역세권 민간자문단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