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마트·1카드’가 대세…카드업계, 유통사 확보 혈전

[앵커]
카드업계가 유통사 단독 제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른바 ‘1마트·1카드’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인데요. 카드사들은 대형마트에서 이뤄지는 결제 건을 독식할 수 있고, 대형마트는 특화된 혜택을 담은 카드로 고객을 더 끌어모을 수 있어 새로운 성공모델이 되고있습니다. 고현정 기자입니다.
[기자]
특정 유통사와 단독 제휴를 맺기 위한 카드업계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카드 혜택을 마트나 온라인 쇼핑몰 등 유통 채널별로 특화해 각 유통사를 대표하는 신용카드로 자리 잡기 위해서입니다.
이처럼 특정 기업에 집중된 혜택을 제공하고 카드 이름도 유통 기업의 브랜드를 활용하는 것을 상업자 표시 신용카드, ‘PLCC’라고 하는데, 일반 제휴카드와 달리 카드상품을 유통사와 카드사가 공동 운영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한정된 마케팅 비용 안에서 선택과 집중을 한 결과 탄생한 PLCC가, 새로운 성공 모델이 되고 있다”고 말합니다.
현대카드가 지난해 6월 이베이코리아 특화 신용카드로 출시한 ‘스마일카드’는 출시 1년 만에 회원 수 42만명을 넘어섰고, 회원 1인당 이용실적도 63% 증가했습니다.
삼성카드는 ‘홈플러스 삼성카드’ 등 국내 대형마트 PLCC를 올 상반기 연이어 출시한 데 이어, 직접 이마트 트레이더스 상품을 소개하는 ‘트레이더스 라운지’를 자사 홈페이지에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오프라인 마케팅을 하지 않았는데도 소비자들의 문의가 꾸준히 늘고 있어 고무적”이라며 “앞으로도 기업과 카드사 간 일대일 협업을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서울경제TV 고현정입니다./go8382@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상반기 '한정 의견' 상장사 속출…시장 퇴출 '마지노선'
- 삼성증권, '혁신 스타트업 재무솔루션' 지원 위해 KAIST와 MOU
- 석화업계 구조개편에 금융권도 지원…채권은행 '사업재편 타당성' 본다
- 금융사 교육세율 두배로…2금융권 반발 확산
- “구조조정으로 살아날까” 냉온탕 오가는 석화株
- 미래에셋생명, 호실적 힘입어 주주환원 강화 나선다
- 의무 보유 확대에…'스팩 우회상장' 택하는 中企
- BNK금융, '해양금융' 강화…"지역 산업 기반 새 기회"
- 인터넷은행 3사 2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 30% 상회
- KB국민은행, 소상공인 One-Stop 컨설팅센터 2호점 오픈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삼성물산, 반포 삼호가든5차 재건축 시공사 선정
- 2LG전자, 올레드 TV로 '프리즈 서울 2025'서 故 박서보 작품 선봬
- 3현대차·기아, 미국서 친환경차 누적판매 150만대 돌파
- 4서울 갭투자, 의심거래 87% 급감…6·27 대출 규제 영향
- 5노인 일자리, 2030년까지 130만개로 늘린다
- 6한·일 "양국 관계 미래지향적 발전"…공동언론발표
- 7삼성전자,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100대 혁신 기술'로 선정
- 8美, 50% 관세…韓 7월 대미 철강 수출 26% 급감
- 9韓 GDP 성장률, 2년 연속 2% 하회 전망
- 10“우리 동네 살리는 소비쿠폰, 9월 12일까지 꼭 신청하세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