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세계 최초 100단 넘는 6세대 V낸드 SSD 양산

삼성전자가 ‘6세대(1xx단) 256Gb(기가비트) 3비트 V낸드’를 기반으로 한 ‘기업용 PC SSD’를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공정 미세화의 한계를 극복하고 100단 이상의 셀을 한 번에 뚫는 단일공정(1 Etching Step)임에도 ‘속도·생산성·절전’ 특성을 향상시켜 역대 최고의 제품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기업용 250GB SATA PC SSD 양산을 시작으로, 글로벌 고객 수요 확대에 맞춰 올해 하반기 512Gb 3비트 V낸드 기반 SSD와 eUFS 등 다양한 용량과 규격의 제품을 계속 출시할 계획이다.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은 3차원 CTF 셀을 최상단에서 최하단까지 수직으로 한 번에 균일하게 뚫는 공정 기술을 적용해 9x단 이상 V낸드를 생산하는 곳은 현재 업계에서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여기에 삼성전자는 ‘채널 홀 에칭(Channel?Hole?Etching)’ 기술로 5세대 V낸드 보다 단수를 약1.4배나 높인 6세대 V낸드를 성공적으로 양산했다.
일반적으로 적층 단수가 높아질수록 층간의 절연상태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어렵고 전자의 이동경로도 길어져 낸드의 동작 오류가 증가해 데이터 판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기술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삼성전자는 6세대 V낸드에 ‘초고속 설계 기술’을 적용해 3비트 V낸드 역대 최고속도를 달성했고, 전 세대 보다 10% 이상 성능을 높이면서도 동작 전압을 15% 이상 줄였다. 또한 삼성전자는 6세대 V낸드에서 6.7억개 미만의 채널 홀로 256Gb 용량을 구현해, 5세대 V낸드 대비 공정 수와 칩 크기를 줄여 생산성도 20% 이상 향상시켰다.특히 6세대 V낸드는 단일공정을 적용해 세 번만 쌓아도 300단 이상의 초고적층 차세대 V낸드를 만들 수 있어 제품 개발 주기를 더 단축할 수 있다고 삼성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플래그십 스마트폰에서 요구하는 초고속 초절전 특성을 업계 최초로 만족시킴에 따라 향후 글로벌 모바일 시장 선점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차세대 엔터프라이즈 서버 시장의 고용량화를 주도함과 동시에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시장까지 3차원 V낸드의 사업 영역을 계속 넓혀 나갈 예정이다.
경계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솔루션 개발실장 부사장은 “2세대 앞선 초고난도 3차원 메모리 양산 기술 확보로 속도와 전력효율을 더욱 높인 메모리 라인업을 적기에 출시하게 되었다”며, “향후 차세대 라인업의 개발 일정을 더 앞당겨 초고속 초고용량?SSD시장을 빠르게 확대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김혜영기자
| jjss1234567@sedaily.com |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롯데마트 토이저러스, 마블 테마 KBL 팝업스토어 오픈
- 신세계디에프, 노동부 주관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선정
- 양마니찌개마을, 우수 점포에 기념품 전달
- 유클리드소프트, 통합 보안 플랫폼 ‘SecuAI’ 고도화 속도
- [인사] SPC그룹
- 문구도매쇼핑몰 퍼줌, 유치원·학원 크리스마스선물 신상품 출시
- 글로벌 보안 기업 이반티,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 기능 강화
- 롯데칠성음료, 재생 플라스틱 '칠성사이다 500ml 페트병' 도입
- 한미약품 면역조절 항암 신약 HM16390, 글로벌 단독·병용 임상 순항
- 푸드테크 기업 넷, 고체형 토닉워터 ‘포켓토닉’으로 해외 진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신애원, ‘2025 꿈키우미서포터즈 초청행사’ 개최
- 2롯데마트 토이저러스, 마블 테마 KBL 팝업스토어 오픈
- 3신세계디에프, 노동부 주관 ‘일·생활 균형 우수기업’ 선정
- 4양마니찌개마을, 우수 점포에 기념품 전달
- 5유클리드소프트, 통합 보안 플랫폼 ‘SecuAI’ 고도화 속도
- 6SPC그룹
- 7문구도매쇼핑몰 퍼줌, 유치원·학원 크리스마스선물 신상품 출시
- 8남원시의회, 5분 자유발언서 도시 시정 전방위 개선 촉구
- 9글로벌 보안 기업 이반티, 통합 엔드포인트 관리 기능 강화
- 102025 용담검무, 남원서 이틀간 전통·무예·예술의 장 열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