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파스, 85억원 규모 CB 발행…”재무건전성 확보 차원”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멜파스가 자금조달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을 본격화 한다.
멜파스는 무기명식 전환사채 85억원 발행을 통한 운영자금 확보로 기존 부채상환과 재무 건전성 확보 및 실적 턴어라운드 기반을 갖춘다고 12일 밝혔다.
멜파스는 금번 CB 발행 자금으로 차입급을 상환해 금융비용을 축소하고 무선 충전칩 성장 가시화를 기반으로 올해 수익 턴어라운드를 달성할 계획이다. 나아가 내년 초 출시를 앞두고 있는 웨어러블 터치칩과 무선충전칩 등의 본격 상용화로 안정적인 성장 기조를 유지할 전망이다.
멜파스는 최근 신규 사업 아이템인 무선 충전칩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해 신규 성장동력을 확보했다. 기존 주력 아이템인 터치칩 부문에서도 올해 3분기 흑자를 실현해 사업적으로 안정적인 기반을 확보한 상태다.
회사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이어진 경영 실적 부진으로 인해 기존 재무 상태에 어려움이 있지만 현재 비즈니스 상황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황”이라며 “올해 주요 목표인 흑자 전환 달성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멜파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초저전력 터치칩과 저전력 무선충전 RX칩을 내년 1분기 출시 목표로 개발 진행 중에 있다.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시장 진입을 통해 추가적인 비즈니스 확장도 준비 중이다. 해당 칩들은 최근 급격히 확장되고 있는 스마트 워치, TWS 이어세트 등에 탑재될 예정으로 향후 실적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한편, 중국 합작사 셀프라스도 신제품 출시와 공급 네트워크 확대로 추가적인 실적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셀프라스는 누적 천만개 출하를 달성함과 동시에 최근 전기 면도기 중국 M/S 1위 고객사인 FLYCO를 확보하고 해당 제품의 양산에 돌입했다.
소형 가전 시장은 기존 스마트폰과 스마트 워치, 자동차 전장 충전기 및 각종 충전기류 악세서리와는 다른 무선 충전의 신규 시장이다.
멜파스 관계자는 “이런 신규 시장을 선점해 새로운 시장에서의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은 전략적으로 매우 의미가 크다”면서 “소형가전 시장 등 각종 신규시장 및 다양한 고객 포트폴리오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확보해 목표 실적을 달성함으로써 계획중인 중국 상장을 계획대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CB 발행으로 인해 최근 주가에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이지만, 본질 비즈니스가 개선되고 있는 상황으로 향후 회사의 긍정적인 체질 개선으로 주주가치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회사 측에서도 적극적인 홍보 활동 및 실적 개선에 최선을 다해 주주분들의 관심과 성원에 보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하나은행·놀유니버스, 금융과 여가 연계한 디지털 금융사업 추진
- MG손보, 영업정지 후 가교보험사 전환?…공적관리 수순 본격화
- 대주주 주가 누르기 막는다…이소영, '상속증여세 정상화법' 발의
- 국제유가 급락에 '원유 선물' 베팅에 몰린 개미들
- 원화 강세 오자 서학개미들 "미국 주식 팔자" 행렬
- ‘구성역 플랫폼시온시티47’, 사업속도 박차...올 하반기 착공
- '외환보유액' 5년 만에 최저…한 달 사이 50억 달러 증발
- ‘정치 테마주’에 출렁이는 증시…투자경고 종목 속출
- 外心 잡아라…외국인 고객 모시기 나선 은행권
- 한국거래소 신임 시장감시위원장에 김홍식 전 재정금융정책관 선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하나은행·놀유니버스, 금융과 여가 연계한 디지털 금융사업 추진
- 2“돌아온 추억의 맛”…식품업계는 ‘레트로 열풍’
- 3수요자 우위에 재등장 ‘후판 가격 분기별 협상’
- 4MG손보, 영업정지 후 가교보험사 전환?…공적관리 수순 본격화
- 5“K-조선의 미래”…‘액화수소 운반선 민관 합동 추진단’ 구성
- 6인스타그램 광고주의보…정체불명 해외쇼핑몰에 '피해 속출'
- 7대주주 주가 누르기 막는다…이소영, '상속증여세 정상화법' 발의
- 8잊히지 않게, 지워지지 않게: AI 시대의 문화다양성
- 9'봄꽃 대향연'…장성군, 황룡강 길동무 꽃길축제 개막
- 10부산시립시민도서관, '2025 원북 시민 독서릴레이' 운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