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쇼크’ 여파에…작년 ‘코스닥 1조 클럽’ 위축

[서울경제TV=고현정기자] 코오롱티슈진의 골관절염 치료제 ‘인보사’ 품목허가 취소 등의 ‘바이오 쇼크’로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며 코스닥 시장 ‘1조 클럽’ 성장세가 전반적으로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시총이 1조원 이상인 상장사(우선주 포함) 194곳 가운데 26곳이 코스닥 상장사로 지난해보다 2곳 줄었다. 여기에 지난해 ‘코스닥 1조 클럽’에 신규 상장한 배터리소재 제조업체 에코프로비엠 1곳을 제외하면 그 수는 3곳이 된다. 실제 코스닥 시총 1위 기업인 셀트리온헬스케어의 경우, 시총이 2018년 말 10조6,000억원에서 지난해말 7조6,000억원으로 약 3조원 감소했다.
소위 ‘빌리언 달러 클럽’으로도 불리는 시총 1조원 이상 기업은 미국에서도 의미 있는 분류로 쓰이고 있으며, 지난해 말 기준으로 ‘코스닥 1조 클럽’에는 셀트리온헬스케어, 에이치엘비, CJ ENM, 펄어비스, 스튜디오드래곤 등이 있다.
‘코스피 1조 클럽’ 역시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일본 수출규제, 홍콩 시위 격화 등 국내외 증시 불확실성이 확대된 탓에 지난해 ‘코스피 1조 클럽’ 멤버는 총 168곳으로 3곳 늘어나는데 그쳤다. 지난해 1조 클럽 멤버가 된 현대차그룹 산하 정보기술 서비스 기업 현대오토에버, 롯데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롯데리츠, 온라인 가구 판매업체 지누스, 한화그룹 방산정보통신기술 기업 한화시스템 등 4곳이다.
실제 지난해 말 코스피는 2,197.67로 마감해 전년 말보다 7.67% 오르는 데 그쳤고 코스닥지수는 669.83으로 0.9% 내렸다. 그나마 지난해 12월 미중 1차 무역 합의와 반도체 반등 기대감 등으로 코스피가 상승 마감해 1조 클럽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풀이된다./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키움증권 "절세계좌로 ETF 모으면 현금 페이백"
- 삼성생명, 이승호 금융경쟁력제고TF장 사장 승진
- 신한證, 전 임직원 대상 AI 교육 역량 강화
- NH선물, ‘EUREX API 수수료 할인 이벤트’ 진행
- "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 업비트·빗썸,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4분기 전망은 '안갯속'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AI 거품론'에 코스피 3900 붕괴…"검은 금요일"
- 결제 즉시 현장서 리뷰·적립…네이버페이 ‘커넥트’ 출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신세계免, 연말 맞아 ‘다담 티 테이블 오브제’ 클래스 개최
- 2부산교육청, AI 기반 자기주도 영어 학습 프로그램 개발해 공개
- 3디엠지와일드, AI 휴먼다큐 '아버지의 심부름' 선보인다
- 4베스트텍, ‘유저 맞춤형 3D 교육 콘텐츠 제작 기술’ 특허 출원
- 5"김홍도와 떠나는 예술 모험"…단꿈아이, ‘설민석의 한국사 대모험 35권’ 출간
- 680세 이상 4명 중 1명 심부전…노인 환자 급증
- 7현대벤디스, ‘전국 맛집 간편식 기획전’ 개최
- 8스타벅스, 올해 커피 앰배서더에 김도형 파트너 선정
- 9“첫 편 탑승률 99%”…이스타항공, 인천-가고시마 운항 시작
- 10BMW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 특별 추첨 이벤트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