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2.5%’ 청년 전월세대출 4.1조원 확대…“6만명 추가 혜택”

[서울경제TV=유민호기자]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전·월세대출 공급 규모가 3조원 늘어 4조1,000억원으로 확대된다.
정부는 26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청년들의 제안을 바탕으로 마련된 ‘청년의 삶 개선방안’을 확정했다. 금융위원회는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 공급 확대 정책도 개선방안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5월 출시된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은 만 34세 이하 청년에게 2%대 금리로 7,000만원 이하 보증금, 월 50만원 이하 월세를 지원하는 상품이다. 2년간 월세대출을 받고, 최대 8년까지 거치(이자만 납부)한 후 분할상환할 수 있다.
주거비 경감 효과에 청년들의 호응을 얻으면서 이달 20일까지 10개월 동안 청년 2만5,000명에게 1조2,000억원의 대출이 나갔다. 이용자의 평균대출금액은 전세대출 5,009만원, 월세대출 591만원(월 24만6,000원) 수준이다.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의 금리는 평균 2.57% 수준이다. 시중 전세대출 평균금리(2.90%, 주금공 보증)보다 0.33%p 저렴하다. 평균적으로 전세는 월 10만원 안팎, 월세의 경우 월 1만원 정도의 이자만 납부하면 된다.
[사진=금융위원회]
금융위 관계자는 “이용자 중 28.5%가 소득이 없는 학생·취업준비생 등으로 금융권을 통해서는 대출 자체가 어려웠단 걸 감안하면, 실질적인 청년 주거문제 해결효과는 더 크다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공급 규모 확대로 약 6만여명의 청년이 추가 혜택(평균 대출금액 5,000만원 기준)을 받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지난달 도입한 온라인 신청 방식을 확대해 접근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현재 카카오뱅크를 통해 비대면 신청이 가능하다.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 업비트·빗썸,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4분기 전망은 '안갯속'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AI 거품론'에 코스피 3900 붕괴…"검은 금요일"
- 결제 즉시 현장서 리뷰·적립…네이버페이 ‘커넥트’ 출시
- 속도조절에도 불붙은 빚투…반대매매 주의보
- KB국민카드, 제1회 'KB 알레그로 정기연주회' 성료
- BNK부산은행, ‘수영구 사랑의 집 고쳐주기’ 발대식 개최
- 코람코자산운용, 김태원·윤장호 각자 대표체제 출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그린푸드, 지식재산처로부터 세이프티 스코어 특허 받아
- 2G마켓, ‘뷰티 앰버서더 1기’ 발대식 진행
- 3"프리미엄 샤브 입지 강화"…옥소반, ‘공덕역점’ 연말 오픈
- 4SK어스온, 인니 유망 광구 지분 확보…"연내 탐사정 시추 목표"
- 5CJ프레시웨이, CJ ENM과 '식단 읽어드립니다' 공동 제작
- 6롯데리아, 고향사랑기부 프로모션으로 지역 상생 추진
- 7CJ올리브영, ‘팝마트’ 손잡고 크리스마스 팝업스토어 운영
- 8GS칼텍스, ‘폐자동차 플라스틱 전 과정’ 국제 인증 획득
- 9LG화학, 'SWOP 2025'서 초박막 혁신 필름 선보인다
- 10한국타이어, 신세계百 광주점서 ‘드라이브’ 팝업 운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