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업체 절반, 코로나로 1분기 매출 20% 감소

[서울경제TV=정새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중 절반의 1분기 매출이 전년보다 2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지난 27일 실시한 코로나19 관련 96개 부품업체에 대한 2차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30%이상 감소한 업체는 27.1%, 20~30% 감소한 업체 22.9%, 10∼20% 감소한 업체는 19.8%, 1~10% 감소한 업체는 22.9%로 나타났다. 반대로 완성차업체들의 재고물량 확보 등에 힘입어 매출액이 증가한 업체도 7.3%인 7개사였다.
3월 기준 공장 가동률은 50% 미만 6.3%, 50~70% 29.2%, 70~90% 47.9%, 90% 이상 15.6%, 100% 가동률을 보인 업체는 1%로 조사됐다.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들은 전체 중 93.8%로 나타났으며, 위기극복을 위한 필요자금 규모는 50억원 미만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10억원 미만 필요업체는 28.7%, 10억~50억원 미만 필요업체는 27.7%, 50억~100억원 미만 필요업체는 22.3%, 100억~500억원 미만 필요업체는 19.1%, 500억원 이상은 2.1%로 응답했다.
유동성 위기 요인으로는 수요위축에 따른 매출 손실 69.5%, 인건비 등 운영자금 불안 41.1%, 해외 현지공장 불안정한 가동상태 33.7%, 해외 수출물량 감소 15.8%, 대출상환 등 자금 조달 애로도 14.7% 순으로 조사됐다(복수응답).
이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건의사항으로 정부의 운영자금 지원 72.6%, 추가 대출 및 만기 연장 50.5%, 법인세/부가세 등 세금 납부 유예 24.2% 등을 요구했다(복수응답).
정만기 회장은 “코로나 위기가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차원으로 확산됨에 따라 우리 부품업체들의 위기도 심화되고 있다”며 “유동성 대출 신속 지원, 각종 세금 납부 유예 혹은 감면, 공공구매 확대 등 내수촉진, 고용유지지원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ja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안전성’이 무기"…현대차·기아, 글로벌 판매 성장세
- BMW 코리아, ‘뉴 1시리즈’·‘뉴 2시리즈 그란 쿠페’ 출시
- CJ프레시웨이, 식자재 유통 식품안전 인증 재획득
- 스타필드, 여름나기 준비 완료…각양각색 팝업 진행
- 이스타항공 직원, 해외 불법 도박 사이트 운영자 검거 기여
- 티웨이항공 김세미 제주지점장, 제주관광공사 감사패 수상
- 포스코, 유럽 최대 키친 제조사 프랑케와 '프리미엄 스테인리스 싱크' 제품 출시
- 셀트리온홀딩스, 1조원 재원 한도 확보…사업구조 개편 추진
- KT, ‘안심플러스 무료 프로모션’…"인터넷 고객 해킹 예방"
- 카카오, '프로젝트 단골' 업무협약 체결...지역상권 활성화 추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안전성’이 무기"…현대차·기아, 글로벌 판매 성장세
- 2BMW 코리아, ‘뉴 1시리즈’·‘뉴 2시리즈 그란 쿠페’ 출시
- 3CJ프레시웨이, 식자재 유통 식품안전 인증 재획득
- 4스타필드, 여름나기 준비 완료…각양각색 팝업 진행
- 5이스타항공 직원, 해외 불법 도박 사이트 운영자 검거 기여
- 6NH투자증권 "한국콜마, '역대 최대' 2분기 실적 기대…목표가↑"
- 7티웨이항공 김세미 제주지점장, 제주관광공사 감사패 수상
- 8포스코, 유럽 최대 키친 제조사 프랑케와 '프리미엄 스테인리스 싱크' 제품 출시
- 9셀트리온홀딩스, 1조원 재원 한도 확보…사업구조 개편 추진
- 10KT, ‘안심플러스 무료 프로모션’…"인터넷 고객 해킹 예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