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업체 절반, 코로나로 1분기 매출 20% 감소

[서울경제TV=정새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으로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중 절반의 1분기 매출이 전년보다 20%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지난 27일 실시한 코로나19 관련 96개 부품업체에 대한 2차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30%이상 감소한 업체는 27.1%, 20~30% 감소한 업체 22.9%, 10∼20% 감소한 업체는 19.8%, 1~10% 감소한 업체는 22.9%로 나타났다. 반대로 완성차업체들의 재고물량 확보 등에 힘입어 매출액이 증가한 업체도 7.3%인 7개사였다.
3월 기준 공장 가동률은 50% 미만 6.3%, 50~70% 29.2%, 70~90% 47.9%, 90% 이상 15.6%, 100% 가동률을 보인 업체는 1%로 조사됐다.
유동성 애로를 겪는 기업들은 전체 중 93.8%로 나타났으며, 위기극복을 위한 필요자금 규모는 50억원 미만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10억원 미만 필요업체는 28.7%, 10억~50억원 미만 필요업체는 27.7%, 50억~100억원 미만 필요업체는 22.3%, 100억~500억원 미만 필요업체는 19.1%, 500억원 이상은 2.1%로 응답했다.
유동성 위기 요인으로는 수요위축에 따른 매출 손실 69.5%, 인건비 등 운영자금 불안 41.1%, 해외 현지공장 불안정한 가동상태 33.7%, 해외 수출물량 감소 15.8%, 대출상환 등 자금 조달 애로도 14.7% 순으로 조사됐다(복수응답).
이같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건의사항으로 정부의 운영자금 지원 72.6%, 추가 대출 및 만기 연장 50.5%, 법인세/부가세 등 세금 납부 유예 24.2% 등을 요구했다(복수응답).
정만기 회장은 “코로나 위기가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차원으로 확산됨에 따라 우리 부품업체들의 위기도 심화되고 있다”며 “유동성 대출 신속 지원, 각종 세금 납부 유예 혹은 감면, 공공구매 확대 등 내수촉진, 고용유지지원 확대 등 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ja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저작권 논란에도…챗GPT가 불러온 ‘지브리 놀이’
- 벼랑 끝 홈플러스…기업회생·검찰 수사 속 ‘대책 실종’
- “키움서 주식 안한다”…키움증권 연이틀 먹통에 ‘부글부글’
- 한숨 돌린 줄 알았는데…트럼프 “의약품도 관세 검토 중”
- [尹파면] 대선 국면 돌입…짙어진 부동산 시장 관망세
- [尹파면] 탄핵에 반색하는 플랫폼...카카오 숨통 트이나
- 필립스옥션, 런던서 '뉴나우 근현대 미술 경매' 개최
- '자본시장법 위반' 김상철 한컴그룹 회장 1심 벌금형
- 소상공인연합회 "헌재 결정 존중…경제 살리기 매진하길"
- 한국AX마케팅협회,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 참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