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학의 ‘장중일기’-11일 오전 시황] “시장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필요한 시점”

[홍성학의 ‘장중일기’-11일 오전 시황] “테마성 종목이 아니라면 시장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필요한 시점”
국내 66번 코로나 확진자로 인해 재차 코로나 확산에 대한 우려감을 가지고 출발했다. 기존 코로나19 관련주인 씨젠, 웰크론, 바디텍메드등의 마스크, 진단키트등의 종목들은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와는 달리 생각보다 강한 흐름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반면, 사회적거리두기의 추가 연장에 대한 우려가 팽배해짐에 따라 언택트 관련된 종목군인 온라인교육, 전자결제, 클라우드등의 움직임은 상대적으로 양호하게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이전처럼 폭발적인 반응은 나타나지 않는 모습이다.
최근 시장내 팽배해진 가격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시장은 개장 후 일정 수준 이식 매물이 출회하며 가격 움직임에 제동을 걸고 있으며, 이식 매물로 인한 가격 조정이 대기 매물까지 불러오고 있다. 하지만, 시장의 움직임은 출회되는 매물의 강도는 점차 감소하는 양상이 펼쳐지며, 시장 내 큰 충격을 가하지 못하는 양상이다.
금일 오전 개장후 최근 단기적으로 움직임이 다소 활발하게 진행되어온 종목들에 대한 매물이 우선적으로 출회 되고 있다. 일부 종목들의 경우 시세 탈락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테마와 관련되어 변동성을 높였던 종목들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이다. 단순히 테마로 움직인 종목들의 경우 일정 수준 매물을 정리해야 하는 것이 정상적일 것이다. 특히 코로나 19의 재확산 우려로 인해 시세가 무너진 종목이 재차 돌리는 상황은 기존 물려있던 이들에겐 엑시트(exit)의 기회가 된다.
시장은 지난 2월17일부터 3월19일까지의 급락 구간과 3월20일부터 4월17일까지의 강한 되돌림 구간에서 높은 변동성을 보여주었지만, 그 이후 계속해서 변동성을 축소해가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변동성이 축소된 상태가 지속되는 과정에서 시장 참여자들은 낮은 변동성에 익숙해지고. 그에 따라 장 중 일시적 가격 변화가 발생할 경우 빠른 대응을 하고 있다. 조금만 올라도 이식 매물이 출회하고 조금만 빠져도 불안해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시장내 물량의 소화 과정이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주 후반 강한 움직임을 기록한 반도체를 비롯한 IT주에 대한 금일 오전의 매물 출회 현상이 대표적이다. 충분히 예상된 흐름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테마로 인해 대규모 거래가 수반된 종목들이 아닌 경우 쉬어가는 구간에서 철저하게 거래를 죽여주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기에 가격 조정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불안해 하며 시장 대응을 하지 않아야 한다.
불안한 마음이 조그마한 가격 변화에도 불안감이 증폭되며, 매도하게 된다. 종목별 차이는 존재하나, 테마성 종목이 아니라면 시장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은 탈락하는 종목들이 나타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 홍성학 대표 장중 공개방송 오전 8시20분~40분 장전 시황방송(유튜브 ‘홍성학의 장중일기’)
* ‘주식쟁이 홍성학’의 종목상담 유튜브 방송=매주 월요일 ~ 목요일 밤 9:00-10:00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4000피 코앞' 불장에 코스피 거래대금 '4년 만 최대'
- 외국인 투자자, 코스피서 1000조원 돌파…반도체 대형주 집중 매수
- 하나금융, '금융원 최초'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 김천 김밥축제 찾은 삼성증권, '주식불장' 소스로 이색 마케팅
- 하나금융, 이사회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전면적 쇄신 이룰 것”
- 金 폭락에 개미 패닉…“지금이 오히려 기회”
- 일본은행, 내주 기준금리 동결 전망…정권과의 조율 필요성 제기
- 다음 주 3분기 GDP 발표… 산업·인구·금융 통계도 공개
- 다음 주 코스닥 상장 기업 청약·수요조사 잇따라… 이노테크·핑크퐁 등 주목
- 예상 밑돈 美 물가… 뉴욕증시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 2국토부, 올해 동계 항공편 운항 일정 확정…국제선 회복세 뚜렷
- 3자립준비청년 정신건강 진료 5년간 30% 증가…구조적 관리 필요
- 4日, 트럼프 방일 시 美와 조선업 협력각서 체결 조율
- 5최선희 北 외무상, 러시아·벨라루스 방문…북미 정상 만남 불발되나
- 6국내 유통 CEO들 한자리에…APEC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7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시작
- 8현대건설, '국내기업 최초' 美 대형원전 프로젝트 수행계약 체결
- 9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정부 제동 가능성…BP 우선 협상 논란 확산
- 10기후변화에 자취 감춘 중·대형 고등어…수입산 비중 확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