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경매시장 ‘후끈’…"지방은 유찰 거듭하다 반값에 팔려"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초여름 폭염 특보와 함께 경매 시장에도 때이른 여름이 찾아온 모습이다.
9일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2020년 5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경매 진행건수는 1만3,094건으로 이 중 4,669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35.7%, 낙찰가율은 77.1%를 기록했고 평균응찰자 수는 4.5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됐던 경매 물건이 시장에 풀리자마자 팔려나가는 분위기다.
경매 시장의 소화량을 보여주는 낙찰률은 전국, 전용도 기준 전월 대비 2.5%포인트 올랐고, 부동산 가치 평가를 나타내는 낙찰가율은 전월 대비 6%포인트 올랐다. 수도권의 경우 경기(44%)와 인천(43.5%)의 낙찰률이 전월 대비 5%포인트 이상 올라 수도권 낙찰률 상승세를 견인했다. 반면, 경남(25.3%)과 충북(26.6%)은 전국에서 유이하게 두 달 연속 낙찰률이 20% 대에 머물렀다.
주거시설의 경우 물건 수가 가장 많은 경기가 낙찰률 50.6%를 기록하면서 올 들어 처음으로 50%를 넘어섰고, 인천도 전월 대비 낙찰률이 6.5%포인트 오른 45.2%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대대광(대전·대구·광주)의 강세가 지속되는 한편, 경북과 제주는 반복된 유찰로 인해 입찰 최저가가 낮아진 물건이 소화되면서 낙찰률은 개선됐으나, 낙찰가율은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업무상업시설의 지역 격차는 더욱 극명했다.
활황세를 이어가는 수도권에 비해 제주(14.6%)와 전남(16.2%), 부산(18.5%)은 각각 20% 미만의 낙찰률을 기록하며 시장 정체를 보였다. 충남(47.1%)과 전북(50.8%), 경남(53.7%)도 낙찰가율이 감정가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국 최상위권 낙찰가율을 기록한 광주(94.5%)와 서울(94.3%), 부산(88.5%)의 경우 감정가만 수십억에 달하는 대형 물건의 고가 낙찰에 의한 영향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지지옥션 관계자는 “시장에 나오기 무섭게 팔려나가는 수도권과는 달리 지방 일부 지역의 경우 유찰을 거듭한 물건이 소화되기 시작하면서 낙찰률은 오르고, 낙찰가율은 떨어지는 반비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기중앙회, 美 ‘한국식품타운’ 조성 논의
- 카카오헬스케어, ‘생활습관 루틴 공식’ 팝업 스토어 오픈
- “세계 최초”…스타벅스, 상반기 중 키오스크 도입 검토
- 카카오, 파리 OECD 회의에 ‘프로젝트 단골’ 성과 발표
- 건설사, 1분기 분양 계획 34% 그쳐…"대선 전까지 개점 휴업"
- 스텔란티스코리아, 지프 픽업 '뉴 글래디에이터' 국내 출시
- 구일개발 "광주 선운진아리채 지역주택조합 입주 시작"
- 중기중앙회, 제4차 中企공공조달 정책연구회 개최
- 중진공, 융복합 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
- '리더십 공백' 해소 노태문…"'원 삼성'으로 민접한 조직 문화 실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