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 23대 1…전 정부땐 13대 1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문재인 정부 들어 서울 아파트 1순위 청약경쟁률이 박근혜 정부시절보다 두 배 가량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아파트 분양평가 전문업체 리얼하우스가 2014년 이후 6년 동안 서울 아파트 청약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5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서울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이 평균 23.0대 1로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 당시 서울 청약경쟁률 13.3대 1 보다 약 2배 가량 높은 수치다.
서울 분양시장이 과열된 이유는 아파트 공급 물량이 기존보다 줄어든 반면 청약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2019년 연말까지 3만1,170가구 공급됐는데, 1순위 청약자 수는 71만7,879명에 달했다. 공급물량은 박근혜 정부시절(3만9,544가구)보다 약 8,400여 가구 줄어들었다. 하지만, 1순위 청약자수는 같은 기간 약 19만2,000여명 늘어난 71만7,879가구에 달한 것이다.
서울에서 공급이 줄어든 주된 이유는 기존보다 훨씬 강력해진 부동산규제 정책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가 부활하면서 서울의 신규주택공급에 발목을 잡았으며 강남 재건축사업은 위기를 맞아야만 했다.
여기에 2018년 서울 전역이 고분양가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주택수요자들의 관심이 분양시장에 쏠렸던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사실상 분양가를 통제하면서 주택수요자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신규 분양단지를 눈여겨보게 된 것이다.
문재인 정부 들어 분양가 상승폭도 커졌지만 서울 집값 상승률에 못 미친 점도 서울 분양시장의 흥행요인으로 꼽힌다. 전 정부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평균 2,185만원 선이었으나 문 정부 들어 2,703만원으로 26.9% 상승했다.
기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분양가를 훨씬 웃돌았다.
KB국민은행 부동산시세에 따르면 2017년 6월 서울의 평균 아파트가격은 3.3㎡당 1,967만원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까지 무려 44.6%나 올라 3.3㎡당 2,845만원 선의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기존 아파트와 새 아파트의 가격차이가 거의 사리지면서 분양시장에 청약통장이 대거 몰렸던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의 청약경쟁률은 시간이 지날수록 높아지고 있는 추세여서 서울에서 분양시장을 통한 내 집 마련이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문 정부 초기 청약경쟁률은 한자리수(2017년 10월~2018년 2월)를 기록하기도 했지만 2018년 3월 이후에는 매달 수십 대 일의 청약경쟁률을 기록 중이다.
김병기 리얼하우스 팀장은 “정부가 아파트 분양가 상승을 억제하고 동시에 무주택자에게 우선 청약기회를 줌으로써 개발 이익을 집 없는 수요자에게 우선 분배 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면서도 “규제 일변도의 정책은 단기간에 효과를 거둘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신규주택공급 감소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고객이 車 설계 참여”…현대차그룹, ‘UX 스튜디오 서울’ 개관
- 개발 권리 반환된 ‘국산 신약 물질’…실패 아니면 기회?
- 주춤했던 K-조선…美 LNG 바람 타고 수주 기대감
- 4연속 참패 ‘엔씨’…박병무式 체질개선 통할까
- ‘위브 더 제니스’ 잊고 다시 뛰는 두산건설…도시정비 승부수
- 볼보차코리아, XC90·S90 론칭…수입차 3위 넘본다
- 안 팔리는 ‘11번가’…수익성 개선 관건
- KT, 역대급 영업익 전망…SKT 실적 둔화 ‘불가피’
- "여름철 실내 적정 온도 지켜요" 산업부, '에너지절약 캠페인' 출범식 개최
- “브랜드가 만드는 가치”…지방서 더욱 빛나는 브랜드 아파트 ‘블루칩’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정명근 화성특례시장, 3년 성과와 향후 과제 발표
- 2오성환 당진시장, 취임 3주년…성과와 과제는?
- 3계명문화대, 우즈베키스탄 TIIAME 대학교 교수 및 관리자 초청연수 성료
- 4“고객이 車 설계 참여”…현대차그룹, ‘UX 스튜디오 서울’ 개관
- 5개발 권리 반환된 ‘국산 신약 물질’…실패 아니면 기회?
- 6주춤했던 K-조선…美 LNG 바람 타고 수주 기대감
- 7카드론도 규제 강화…신한·현대카드 수익 방어 '비상'
- 84연속 참패 ‘엔씨’…박병무式 체질개선 통할까
- 9‘위브 더 제니스’ 잊고 다시 뛰는 두산건설…도시정비 승부수
- 10볼보차코리아, XC90·S90 론칭…수입차 3위 넘본다
댓글
(0)